"더욱 강력한 언론악법 저지투쟁 나설 것"

"헌재, 미디어법 심판 여론 경청해야"
'언론악법 날치기 1년 대토론회'서



   
 
  ▲ 21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언론악법 날치기 1년 대토론회'에서 정장선 민주당 의원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전병헌 민주당 정책위 의장은 지난해 7월 강행처리된 미디어법과 관련해 “더욱 강력한 언론악법 저지 투쟁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전병헌 의장은 21일 정장선 민주당 의원과 미디어행동 주최로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언론악법 날치기 1년 대토론회’ 발제에 나서 이같이 밝혔다.

전 의장은 “언론악법 날치기 1년이 됐지만 고흥길 한나라당 정책위 의장과 정병국 문방위 위원장도 언론 인터뷰에서 종편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는 등 180도 다른 이야기를 하고 있다”며 “한나라당이 날치기까지 하며 서둘러 도입하겠다던 종편은 1년이 지난 지금 기본 내용조차 확정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전 의장은 “당장 내일 언론악법이 통과안되면 언론이 망하기라도 할 것처럼 떠들던 사람들이 정작 1년 동안 손놓고 수수방관했다”며 “지난 1년 간 정부는 종편으로 거대 보수신문의 입을 봉쇄하고 길들이기용 당근으로 이용했다”고 주장했다.


KBS 수신료 인상 문제에 대해서도 “언론악법 날치기하듯이 처리하려 한다”고 비판했다.


또한 “방통융합, 일자리, 콘텐츠 서비스 등의 산업적 구호는 선전용에 불과했고 방송의 구조 개편을 통해 정권의 나팔수 만들기, 독점적 여론형성구조를 만들기 위한 것이었음이 입증된 것”이라며 “더욱 강력한 명분과 설득력을 갖고 악법 저지 투쟁에 나서지 않을 수 없다”고 밝혔다.

민주당 ‘무효언론악법폐지투쟁위원회’ 위원장 박주선 의원은 축사에서 “헌법재판소가 미디어법의 ‘부작위에 의한 권한쟁의심판’ 만큼은 국민들의 목소리를 경청해서 올바른 결정을 내리길 바란다”고 말했다.

천정배 민주당 의원도 축사에서 “김미화씨 등 방송인에 대한 탄압, YTN사태 책임자의 청와대 홍보수석 기용 등 정권은 아직도 국민의 분노를 외면하고 있다”며 “국민의 저항을 부를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