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정부가 언론과의 유착을 끊고 건강한 긴장관계를 조성하겠다고 수 차례 강조했으나 기자들 대부분은 현재 정부와 언론과의 관계가 ‘불필요하고 감정적인 긴장관계로 변화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4·5면
본보가 기자협회 창립 39주년을 맞아 한길리서치와 공동으로 지난 7월 29일부터 8월 1일까지 전국의 신문·방송사 기자 3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 조사(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5.7%) 결과, 현재 정부와 언론과의 관계가 ‘불필요하고 감정적인 긴장관계로 변화했다’는 응답은 80.8%를 차지한 반면 ‘건강한 긴장관계로 변화했다’는 응답은 14.3%에 불과했다. 특히 ‘감정적으로 변화했다’는 응답은 중앙일간지(91.8%)에서 높게 나타났다. 또 정부에 대한 일부 언론의 보도 태도가 지나치게 감정적이라는 주장에 대해서도 상당수 기자들은 동의(70.4%)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무현 정부의 언론 정책 전반에 대한 평가는 ‘그저 그렇다’(35.4%)는 유보적인 평가와 함께 부정(33.2%)과 긍정(31.1%)이 엇갈리게 나왔다. 특히 부정적이라는 응답은 지방(26.0%)보다 서울(38.0%), 그 중에서도 중앙일간지(46.8%)에서 높게 나타났다. 반면 긍정적이라는 평가는 지방(39.0%)이 서울(25.8%)보다 높아 노무현 정부의 지역 언론 지원책에 대한 지방 언론계의 기대가 반영된 것으로 분석됐다.
이같은 지방 언론계의 기대는 다른 조사 결과에도 영향을 미쳤다. 노무현 정부에서 앞으로 가장 역점을 두고 추진해야 할 언론정책으로 ‘지역언론 지원’을 꼽은 기자들은 지방이 64.4%인데 반해 서울은 3.4%에 불과했으며, ‘신문시장 정상화와 공배제 지원’을 꼽은 기자들은 서울이 37.7%인데 반해 지방은 8.0%에 그쳤다. 한편 방송기자들은 ‘지상파 디지털방송 재검토’(31.4%)를 향후 최우선 과제로 꼽아 서울과 지방, 신문과 방송 등 특성에 따라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논란을 빚고 있는 신문과 방송의 겸영과 관련해서는 ‘일부 거대자본 언론사에만 유리한 정책으로 문제가 있다’(48.1%)와 ‘절대 허용해서는 안된다’(13.6%)는 부정적인 견해가 다수(61.7%)를 차지했다. 반면 ‘필요성이 인정되는 부분이 있으므로 장기적으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는 응답은 33.5%였으며, ‘즉각 허용해야 한다’는 응답은4.1%로극소수에 불과했다.
KBS 2TV와 MBC를 민영화하고 KBS 수신료를 폐지해야 한다는 한나라당의 주장과 관련해서는 ‘내년 총선을 의식한 정치적 발상이며 내용에도 문제가 많다’(30.5%)는 부정적인 응답이 ‘즉각 관련법을 제·개정해 민영화 및 KBS 수신료 폐지를 실시해야 한다’(19.5%)는 긍정적인 응답보다 많았다. 특히 부정적인 응답의 경우 방송(48.9%)이 신문(26.4%) 보다, 그중에서도 중앙방송(53.1%)에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취지와 방향은 옳지만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는 신중론도 다수(46.4%)를 차지했다.
한편 기자들은 오보 발생의 원인으로 ‘언론사의 과당 취재 경쟁’(41.8%)과 ‘언론사의 무책임한 한건주의 보도관행’(34.3%) 등 언론사의 구조적 환경 요인을 주로 들었다. 또 기자들 상당수(63.2%)는 인터넷 매체의 성장이 기존 신문·방송 매체의 영향력을 위축시킬 정도로 성장했다’고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