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컴·퓨·터·를·켜·며] 25년이 지나

김 일  2000.11.14 00:00:00

기사프린트

지난 17일 저녁 7시 세종문화회관 1층 세종홀. 성명서가 발표되고 있었다. 내용은 지난해 동아일보 김병관 회장이 동투에 제의한 화해 제스처가 진정한 반성과 회개에 바탕한 것이 아니라는 판단 아래 해마다 촉구해온 동아일보사의 사죄와 원상회복, 배상 요구를 더 이상 되풀이하지 않겠다는 동투의 의지였다.



´언론개혁은 온 국민적 과제이다´란 제하 성명은 이로써 지난해 김병관 회장의 화해제의로 시작된 대화가 무산됐음을 선언하는 것이다. 김 회장은 지난해 10·24 25주년을 맞아 동투에 화해 제스처를 보내며 대대적인 지면 할애를 통해 과거사를 선전도구로 이용했다. 그러면서 "새천년이 오기 전에 화해하고 싶다"는 서한을 보내기도 했다. 김 회장은 이현락 주필을 대동, 성유보 동투위원장을 만나 ´해답´을 찾기 위한 방안을 달라고도 했다. 그러자 성 위원장은 동투위원들의 총의를 모아 5대 원칙을 전달했다. 이는 ①동아일보 1면에 사과문 게재 ②74년 10·24 자유언론운동 당시 상황을 동투와 공동으로 기획 연재 ③동투위원 당시 직책으로 복직 인사(발령 다음날 전원 사표 제출) ④100억 원 보상금 지급 ⑤보상법 논의시 동아일보의 적극적 협조 약속 등이다.



수개월이 지나도록 깜깜 무소식으로 일관하는 태도에 대해 동투는 이날을 기해 "동아일보사가 반성과 사죄를 통해 스스로 거듭 태어날 의지가 없으며 마침내 언론개혁의 주요한 대상으로 전락할 수밖에 없다"고 결론내린 것이다.

반면, 동아일보사는 오는 31일 창간 80주년 기념식에 동투위원 초청보다는 김대중 대통령의 참석 확인에 여념이 없다. 김대중 대통령은 75년 당시 동투 편에 서서 "이제라도 대화를 시작하여 무더기 해임을 백지화해야 한다"고 촉구하던 ´재야인사 22인 호소문´의 주역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