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란 끝에 남북 정상회담 취재진 규모가 50명으로 결정됨에 따라 언론사 별 안배 문제가 새로운 골칫거리로 떠올랐다. 취재진 50명은 남측 80명, 북측 40명으로 팽팽히 맞서다 결정을 내린 숫자다. 문제는 알려진 바와 같이 방송카메라를 포함한 중계인원이 15~20명, 여기에 사진기자를 빼면 별로 안배할 여지가 없다는 점이다. 청와대 출입이 등록된 언론사만도 서울 25개 사, 지방 22개 사에 이른다.
현재 취재진 구성 문제는 정상회담 준비기획단에서 일임한 상태다. 따라서 준비기획단은 취재단 선별 원칙, 사별 안배 기준 등을 결정, 구성에 나서게 된다. 일정에 따르면 다음달 5일까지 북측에 대표단 명단을 통보해야 하기 때문에 이르면 이번 주 안으로 취재단 구성을 마쳐야할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의 한 관계자는 “워낙 중대사안이다 보니 여러 곳에서 의견을 듣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출입기자가 아닌 언론사 차원의 문제이기 때문에 못가는 언론사에 양해도 구하고 원칙도 설명하는 절차를 거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 청와대 출입기자는 “경제지는 남북경협의 의미를, 영자지는 해외 홍보를, 지방사는 지방사대로 지역안배를 강조하며 결과를 예의 주시하는 형편”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