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에서 신문, 방송 각각 25명으로 남북정상회담 취재단을 구성키로 하자 예상대로 배분에 대한 논란이 벌어졌다. 26일 박준영 청와대 대변인은 "정상회담 추진위원회 심의를 거쳐 취재단을 구성했다"며 결과를 발표했다.
먼저 신문의 경우 서울지역 10개 종합지와 연합뉴스 각 1명, 경제지는 매일경제와 한국경제, 영자지는 코리아헤럴드 각 1명씩 배정됐다. 여기에 지방지는 중부권, 호남·제주권, 영남권 등 권역별로 1명씩 포함돼 취재기자는 총 17명이다. 사진취재단은 연합뉴스 1명, 종합지 6명과 청와대 전속 사진담당 등 8명으로 구성된다.
방송은 KBS, MBC, SBS, YTN 4개 사 취재기자 6명, 카메라기자 8명, 중계요원 8명, 청와대 전속 ENG요원 2명 등 24명이며 CBS, BBS, 평화방송 등 라디오 3개 사에 1명을 배정했다.
박 대변인은 이에 대해 "공동취재단에 속한 기자들의 모든 기사는 풀로 처리되며 동일 계열 언론사는 대표로 1명만 선정했다"고 밝혔다.
이같은 기자단 배정은 특히 지방지 기사들의 강한 반발을 불러왔다. 청와대 출입 지방기자들은 26일 오후 회의를 갖고 등록된 22개 사 가운데 3명만이 배정된 데 대한 항의해 취재단에 불참키로 의견을 모았다. 지방기자단은 29일 열리는 회의에서 최종 입장을 결정할 예정이다.
또 이날 발표 석상에서는 성격이 다른 매체임에도 불구하고 계열사 원칙 때문에 배제됐거나 라디오 3개 사에 1명만 배정됐다는 점 등에 대한 기자들의 불만이 제기되기도 했다. 반면 현재로선 다음달 5일까지 북측에 명단을 통보해야 하고 그에 앞서 사전교육 등의 절차를 밟아야 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사실상 취재단 구성이 수정될 여지는 희박하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