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우·리·의·주·장] 다시 윤리를 생각한다

아직도 만연한 특권의식 이젠 버려야

편집국  2000.11.16 13:31:10

기사프린트

“우리는 취재보도 과정에서 기자의 신분을 이용해 부당 이득을 위하지 않으며 취재원으로부터 제공되는 사적인 특혜나 편의를 거절한다”

지난 96년 기자협회가 신문협회, 편집인협회와 공동으로 선포한 언론윤리강령 및 실천요강중 한 대목이다. 그러나 이것은 말 그대로 선언적 의미에 그치고 있다.

지난해 언론대책 문건 파동과 미공개 정보를 이용한 주식투자 등에 이어 최근에는 몇몇 카메라 기자들이 선거를 앞두고 지나친 향응을 받아 세간에 기자의 도덕성 문제가 또 다시 도마에 오르고 있다. 이들은 정인봉 당선자가 공천 받기 전에 잡은 약속이었다고 말했다. 그렇다고 해서 이들의 모든 책임이 면제될 수는 없다.

그러나 언론계에서 이들에게 돌을 던질 수 있는 기자는 많지 않을 것이다. 특히 정치계를 취재하는 대부분의 기자들은 선거 때건 아니건 정치인들이 마련한 향응을 받는다.

기자들이 향응을 받아서 안 되는 것은 언론의 본분인 불편부당한 권력 감시를 위해, 그리고 보도의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기자들이 여전히 취재원과 그것도 가시 대상인 권력과 어울려 향응을 받는 것이 관행으로 굳어 있다. 그래서 지난 10여 년 동안 우리는 이러한 관행을 깨뜨리려고 지속적으로 많은 노력을 했는데도 불구하고 번번이 기자들의 도덕성이 문제가 되는 사건들이 터져나오고 있다.

이는 기자들이 국민들로부터 위임받은 비판과 감시의 기능을 마치 특권으로 인식하고 있는데서 비롯됐다. 비판과 감시를 위해서는 자신부터 돌아봐야 하지만 기자들은 이를 이용해 자신들의 편의와 이익을 도모하고 있다 이러한 특권은 권력과의 유착에서부터 취재원한테서 받는 향응과 금품은 물론이고 명절 기차표 빼돌리기나 교통 법규 위반 등 다양한 차원에서 일상화하여 있다.

이러한 선민의식이 없어지지 않는 한 기자들의 윤리문제는 언제든지 불거져 나올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선민의식은 자신에 대한 반성을 말살시킨다. 마치 마약에 중독되는 것과 같이 권력 주변부에서 아주 작은 맛을 본 기자들은 거기에 중독돼 자신들에 대한 반성은 하려고도 하지 않고 애써 외면하려 한다. 그 결과 자신도 모르게 권력에 그리고 향응에 익숙해진다. 결국 본연의 의무를 망각하고 자신에게 그러한 권한을 위임한 국민들을 잊어버리고 마는 것이다.

이제 우리는 이러한 특권의식이나 선민의식에서벗어나기위해 스스로 반성해야 한다. 아무리 좋은 제도나 법이 있더라도 그 법이나 제도를 지키려는 의지가 없는 한 이 법과 제도는 사문화할 수밖에 없다. 반성을 통해 자신이 먼저 이러한 윤리강령을 지키려고 노력하지 않는 한 윤리강령은 사문화할 수밖에 없다. 자신에 대해 관대하려 노력하지 말고 뼈를 깎는 노력을 기자들 한 명 한 명이 하지 않는 한 아무리 좋은 윤리강령도 한낱 구호에 그치고 말 것이다. 이제 우리는 우리 자신의 거울을 들여다 볼 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