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국 기자 전원 징계 방침을 밝혔던 CBS가 지난달 26일 징계위원회(위원장 정두진)를 열고 전·현직 기자협회 지회장과 PD협회장만을 선별 징계하기로 입장을 선회함에 따라 CBS의 징계 원칙에 대한 근본적인 물음이 다시 제기되고 있다.
징계위에서 징계 철회를 건의했던 박남훈 보도국장은 “사규로 따지면 전원 중징계를 내려야겠지만 노사화합을 먼저 고려했으며 기자들을 모두 징계한다는 데에 대한 부담감이 있었던 것도 사실”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노조(위원장 민경중)는 “기자협회 지회장과 PD협회장은 회의를 주재했을 뿐 모든 결정은 표결에 따랐다”며 반발했다. 이날 회의에서 노조는 “주동자로 지목한 특정인의 징계사유가 징계내신서 어디에도 나와있지 않다”면서 “이들 3인에 대한 별도의 징계내신서를 작성하지 않고 징계를 결정하는 것은 절차상 문제” 라고 지적하고 사측의 표결에 반발해 퇴장했다. 사측 징계위원 5명은 민경중 위원장과 김준옥 사무국장 등 노조대표 2명이 퇴장한 가운데 ‘기자 전원 징계 철회’에 만장일치로 합의했다.
노조는 전·현직 기자협회장, PD협회장 등 3인이 징계위원회에 회부되면 기자 전원을 증인으로 신청하는 대응 방안 등을 검토 중이다.
한편 사측의 선별 징계 방침이 알려지자 애초 표명했던 기자 전원 징계방침에 대한 원칙이 무엇이었느냐는 비난이 다시 쏟아지고 있다. 이번 징계는 부장단 징계에 반발한 기자들에 대한 징계인데다 징계 절차에도 문제제기가 계속돼 원칙없는 징계라는 비난을 피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더구나 권호경 사장은 지난달 23일 한 지역본부를 방문한 자리에서 “정말 기자 전원을 징계하려느냐”는 질문에 “기자 전원의 징계가 올라 온 줄도 몰랐다”고 답변해 이같은 비난을 뒷받침했다. 정두진 전무는 노조가 징계위에서 이같은 문제를 제기하자 “사장이 몰랐다고 하면 얘기가 안 된다”고 말했으며 김종락 총무국장은 “알고 모르고 간에 사인을 한 사람이 책임을 져야 한다” 고 못박았다.
이번 징계 사태를 지켜 본 한 재단 이사는 “권 사장이 그러면 안된다”면서 “다른 이사들의 의견은 모르겠지만 권 사장은 막다른 골목에 온 것 같고 이제 대세를 따라야 하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