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지방지 기자들 판매.수금원 전락

지역언론사 행사 유치 과잉 경쟁

김상철  2000.11.16 17:14:44

기사프린트

수익사업의 일환으로 각종 공연 행사를 주최하면서 기자들에게 입장권을 할당하는 지방언론사 행태에 대한 비판이 정면으로 제기돼 주목된다.

전북기자협회(회장 이경재 전북일보 교육부장)는 지난 1일자 ‘전북기자협회보’를 통해 이 문제를 거론하며 “수익증대를 위해 경쟁적으로 문화행사를 주최, 이 과정에서 기자들을 입장권 ‘판매원’과 ‘수금원’으로 동원하는 악폐가 계속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언론사들의 표 강매 현상은 주로 출입처 공무원들을 상대로 이루어지며 반강제로 표를 받은 공무원들이 자체적으로 소화를 하거나, 그렇지 못할 경우 업체에 떠넘기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는 것이다. 일례로 이 지역의 한 군은 지난해 자치단체에 들어온 언론사의 표 강매 횟수가 13회에 달했으며 5개 언론사에서 2400만 원 가량의 표가 공무원들에게 할당되기도 했다. 이 군에는 올들어서만도 이미 6회나 ‘표 할당’이 들어왔다.

이 지역의 한 기자는 “회사에서 배당된 입장권은 출입처에 떠넘기거나 광고 명목으로 협찬업체를 찾아 광고비에 표 값을 얹어 돈을 받아낸다. 협찬업체가 도산하거나 광고주가 납입을 거부하면 할당받은 기자가 대납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 지역 언론사들의 경쟁적인 공연 주최 양상은 공연 횟수 증가와 그에 따른 공연자들의 출연료 인상에서도 드러난다. 전북대학교 문화관의 경우 2년 전 한달 평균 한 건에 머무르던 공연이 올들어 평균 5건에 이르고 있다. 한 대중가수는 지난해 말 전주에서 가진 콘서트 출연료가 2000만 원을 밑돌았지만 지난 3월 열린 공연에서는 4500만 원으로 치솟았으며 지방공연에서 통상 3000만 원 정도를 받았던 또다른 가수 역시 전주공연에서는 4800만 원을 받았다는 것이다. 관람료 인상은 물론 기자들에 대한 입장권 할당 역시 강제성을 더할 수밖에 없는 형편이다.

이 때문에 기자들은 “행사 과잉 유치경쟁으로 자초한 수익성 악화를 막기 위해 기자들이 ‘협찬 브로커’나 ‘표팔이’로 전락하는 양상이 반복된다”고 비판하고 있다. 한 기자는 “수익증대를 위해 행사를 유치하고 기자들은 동원하는 ‘기자 사병화’ 양상이 도를 넘어서고 있다. 문제는 이같은 행태가 기사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는 것”이라고 지적하며 시급히 개선돼야할 문제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