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지난 7일 홈페이지(www.cwd.go.kr)‘브리핑’란을 통해 같은 날 조선·중앙·한국일보의 사설과 조선일보 류근일 칼럼에 대한 반론문을 실은 데 이어 12일자 중앙일보 송복 교수 시평을 반박했다.
청와대는 언론의 비판이 계속되자 17일부터 아예 홈페이지에 ‘그건 이렇습니다’라는 코너를 따로 만들어 같은 날 동아·중앙일보 사설에 대한 반론문을 실었다.
박준영 청와대 대변인은 7일 “일부 사설과 칼럼이 사실이 아닌 내용을 기정사실화해 여론을 왜곡할 수 있다”며 “언론에 반론권 요청이 잘 받아들여지지 않는 만큼 앞으로 청와대 홈페이지에 적극적인 반론을 게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언론이 청와대를 비판한 내용은 주로 정상회담 이후 정국현안에 대한 정부의 무대응이다.
중앙과 한국은 7일자 사설에서 “의료계와 롯데 호텔 파업을 거치는 동안 정부가 무엇을 하고있는지 모르겠다”고 비판했다. 이에 박 대변인은 “정부는 해당 부처별로 일을 해왔는데 마구잡이식으로 정부가 아무 것도 하지 않는다고 비판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반론을 폈다.
또 조선일보 류근일 주필은 7일자 칼럼에서 “향후의 국내정치도 모두 정상회담이라는 현란한 ‘작품’ 하나로 너끈히 돌파할 수 있기를 기대하는 기색들”이라며 “남북은 남북이고 내치는 내치다”라고 주장했으나 “전쟁이 나면 애써 이룬 민생도, 사회안정도 끝장이다”라는 박 대변인의 반박을 받았다.
해당 언론사들은 반론권 행사에 대해서는 수긍하는 한편 반론 내용에 대해서는 선뜻 받아들이지 못하겠다는 반응이다.
17일자 사설 ‘남북문제와 차기정권’으로 청와대의 반론을 받은 중앙일보 노재현 논설위원은 “사설에서 ‘한나라당의 시각은 청와대측 반박대로 논리의 비약이라 하더라도…’ 라고 밝히면서 논리의 균형을 잡았는데도 다시 논리의 비약이라고 반론을 펴는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조선일보의 한 정치부 기자는 “조선일보는 그런 사소한 일에 일희일비하지 않는다”며 아예 무관심한 사내 분위기를 전했다.
그러나 청와대는 앞으로도 “짚을 건 짚고 할 말은 하겠다”는 입장이다.
공보수석실의 한 관계자는 “청와대의 반론문을 안 받는 언론사가 있을 만큼 언론 자유가 신장된 것은 사실 아니냐”며 “홈페이지에 글을 싣는 것도언론에대한 세련된 대응태도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따라서 잘못된 사실에 근거한 보도나 사설·칼럼에 대해서는 앞으로도 계속 반론을 펴 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17일부터 청와대 홈페이지에 ‘그건 이렇습니다’ 라는 코너를 만든 것도 이같은 맥락에서다.
이전까지 ‘일회성 발언’ 쯤으로 여겼던 기자들도 이 코너가 등장하면서 청와대의 본격적인 대응에 주목하기 시작했다.
대부분의 기자들은 반론을 보면서 “그동안 언론의 비판에 청와대가 무방비 상태였던 것이 사실”이라며 “왜곡된 사실을 바로잡는 반론이라면 환영할 만한 변화”라는 긍정적인 입장이다.
청와대의 반론을 지켜본 한 기자는 “언론에 반론을 하다보면 청와대 스스로도 언론의 비판에 좀 더 귀 기울이게 될 것”이라며 “언론도 이번 반론을 계기로 사실에 근거한 진지한 비판을 해야 할 것” 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