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연합사장 선임 '정부 의지에 달렸다'

노조,주

김 현  2000.11.17 21:41:12

기사프린트

연합뉴스 노조(위원장 김홍태)의 반대로 임시 주주총회가 무산되면서 사장 선임문제가 ‘연합뉴스 위상재정립’ 논의로 확대되고 있다.

노조는 지난 29일 오전 7층 임시 주총장을 점거해 주총을 무산시키고 이 자리에서 대의원 대회를 열어 ‘연합의 독립성 쟁취를 위한 비상대책위원회’(위원장 김홍태·비대위)를 구성했다.

전·현직 노조 간부와 각 기수별 대표로 구성된 비대위는 30일 회의를 갖고 “이번 투쟁의 목표가 소유구조 개편과 위상재정립의 토대를 구축하는 것이라는 점을 다시 확인했다”고 밝혔다.

비대위는 이 자리에서 김근 사장 내정자 선임에 대한 전 직원의 찬반 투표를 5일과 6일 실시키로 결정했다.

그러나 연합 내부에는 사장선임 문제를 두고 노조의 주장에 동조하는 ‘낙하산 인사 반대’의견과 함께 ‘사내·외 인사 구분없이 능력있는 인사를 뽑자’는 의견, ‘정부 선임 자체를 반대한다’는 의견 등이 제기되어 왔다.

현재 사장선임 문제를 둘러 싼 가장 큰 딜레마는 노조가 주장하는 내부 인사마저 정부의 낙점을 받아야 하는 구조적인 모순에 있다. 이 점은 소유구조 개편을 통한 위상재정립에도 똑같이 적용된다.

한 기자는 “정부의 의지없이는 소유구조를 개편할 수 없다”고 단정지으며 “이미 집권 후반기에 들어선 현 정부에 개혁의지와 힘이 남아있을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노조의 내부인사 주장도 근거를 같이 한다. 최재석 사무국장은 “김종철 사장 때는 30년만의 정권교체였고 성향으로 보아 김 사장과 정부의 교감에 기대를 걸었던 것이 사실”이라며 “그런 김 사장이 실패로 끝났고 정부의 개혁의지도 기대하기 어렵게 된 이상 우리가 먼저 나설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정부는 김근 한겨레 논설위원의 사장 내정 방침에 별다른 변화를 보이지 않고 있어 또한번의 충돌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벌써부터 사내에는 ‘이번 주총이 노조의 반발을 피해 제3의 장소에서 오찬모임으로 열릴 것’이라는 소문이 나도는 등 정부의 움직임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사장선임을 둘러 싼 연합뉴스의 위상재정립 논의는 최근 언론계의 논란이 되고 있는 ‘통신사로서의 위상’에 대한 문제의식과 무관하지 않다.

온라인 매체의 활발한 활동으로 연합만의 장점으로 내걸었던 기사 전송시스템이 무색해지면서 국내에 유일한 통신사로서의 위상이 예전같지 못하다는 것이다.

이같은지적은 최근 방북 취재단의 구성과정에서 다시 불거졌다. 사진기자협회가 사진기자단 구성에 있어 ‘2인 이상일 때 연합뉴스 1인을 포함한다’는 규약의 폐지를 논의키로 한데 이어 통일부 기자실에서는 연합뉴스 위상을 논의하면서 기자실 간사를 맡고 있던 연합뉴스 기자가 사퇴하는 일도 있었다.

소유구조와 매체성격을 두고 내·외부의 위상재정립 요구를 함께 떠안게 될 신임 사장은 6일 이사회 논의를 거쳐 빠르면 20일 경에 열릴 예정인 주총에서 선임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