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우·리·의·주·장] 시급한 지방언론 정상화

편집국  2000.11.17 00:00:00

기사프린트

또다시 지방지 체임 문제가 불거졌다.

영남일보 기자들이 노조와 함께 회장과 사장을 상습체임 혐의로 지방 노동청에 고소하고, 이들을 다시 국민연금 횡령 혐의로 검찰에 고소했다. 법원에는 임금지급 청구소송을 제기한 상태다.

현재 영남일보의 지주회사인 신한견직은 금융감독위원회가 발표한 퇴출기업 명단에 포함돼 있으며, 신한견직이 속한 갑을그룹 역시 워크아웃 중에 있다고 한다. 경영이 어려우리라는 것은 짐작된다.

하지만 넉넉지도 않은 임금의 지급을 미루고 심지어 사원들에게서 원천 징수한 국민연금마저 관리공단에 납부하지 않고 횡령한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정확한 사정이야 알 수 없지만, 갑을그룹 회장으로 있는 영남일보 박창호 회장은 사재를 털든지 그밖의 방법으로 7억원이 조금 넘는 밀린 임금을 충분히 지급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박 회장은 즉각 조치를 취하여 더 이상 추한 모습을 보이지 말아야 한다.

더불어 이번 일이 지방 언론의 근무 여건 개선을 촉진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지방지 체임 문제는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영남일보의 경우 견디다 못한 사원들이 경영진을 고소하면서 공론화했지만, 공론화되지 않은 채 체임에 시달리는 지방 기자들이 아직도 적지 않다.

지방의 언론 환경은 열악하다. 기자들은 저임에 허덕이고 있으며, 그나마 인원도 부족해 한 사람이 두 사람, 세 사람 몫의 일을 맡기 일쑤다. 오로지 기자로서 권력의 감시자요 사회의 파수꾼 노릇하는 보람에 하루하루를 보내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저임마저 제때 지불되지 않는다면 최소한의 생활도 불가능해진다. 사실 지방 언론에 근무하는 기자들의 비리가 심심지 않게 여론의 도마에 오르는 것도 이 같은 열악한 환경에서 비롯된 바가 크다.

많은 경우 지방 언론은 기업인들이 자기 사업의 방패막이로, 또는 권력 행사의 방편으로 이용하기 위해 시장 상황 등을 무시하고 설립했다. 이런 경영진은 제대로 된 언론을 만드는 데 관심이 없고, 기자들의 근무 여건 개선은 안중에도 없다. 이들의 행태가 정상적인 언론 활동을 방해하고 정상적인 언론 시장을 왜곡하고 있는 것이다.

이제 지방 언론을 더 이상 비정상적인 환경 속에 방치해선 안 된다. 경영진은 언론을 언론답게 운용하도록 해야 하며, 기자들에게 정당한 대우를 하고, 보람을 갖고 일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줘야 한다.

지금국회에는언론개혁의 여망을 담은 언론발전위 구성안이 제안돼 있다. 언론개혁의 구체적인 과제가 적지 않지만, 그 중 빠질 수 없는 것이 지방 언론 정상화다.

체임이 없어야 하는 것은 말할 것도 없고, 기자들이 저임과 과중한 업무에서 벗어나 정상적인 기자 활동을 꾸릴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야 한다. 그래야 지방 언론이 제자리를 찾고, 지역 발전의 구심점이 될 수 있다. 언론발전위에 주목하고 구성을 촉구하는 또하나의 중요한 이유다.

지방 언론의 열악한 근무 환경을 이젠 어떻게 좀 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