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추적60분 제작중단 사태와 편성규약 제정 무산으로 제작 자율성 위축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KBS에서는 토론 프로그램 출연자 선정에 박권상 사장이 간섭하고 있다는 의혹까지 제기되면서 제작자율성 침해 논란이 거세게 일고 있다.
노조는 지난 6일자 노보 1면 ‘참을수 없는 제작자율성 침해’ 기사에서 “최근 보도제작국 토론프로그램 담당자들은 황당한 지시를 받았다. 앞으로 출연자는 섭외 전 미리 사장에게 보고하고, 사장이 OK한 다음부터 섭외하라는 내용이었다”고 밝혀 파문이 일고 있다. 이같은 지적은 한 토론프로그램 담당자가 노조 공방위에 사실을 알려와 노보를 통해 처음으로 공론화됐다.
보도제작국 한 PD는 “제작진이 수차례 검토와 추천을 받아 출연진을 선정하는 과정에서 중간에 조정되는 것이라면 보완이라는 측면으로 볼 수도 있지만 지난 화요일(8월 29일)처럼 애시당초 아래에서 리스트를 올리면 위에서 낙점하겠다는 지시는 말도 안되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이봉희 보도제작국장은 “사장 개입은 전혀 사실무근”이라며 “노조에 항의문을 보내 정정보도를 요청하겠다”며 반발하고 있다. 이 국장은 또 “내가 제작회의에 참여하지 못할 때가 많아 CP가 토론자 명단을 보고하고 있지만 이미 제작진에서 토론자를 낙점해 가져오기 때문에 제작자율성 침해는 없다”고 밝혔다.
노조는 방송3사 대통령 특별회견, 편성규약 제정 무산, 토론프로그램 연사 관련 제작자율성 침해 등을 논의하기 위해 지난 4일부터 공방위를 열자고 요구하고 있지만 회사는 추석 이후에나 가능하다는 입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