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은행 대출의혹과 관련, 이운영 신용보증기금 전 서울 영동지점장이 언론사를 ‘선별’해 폭로하자 보도여부와 신빙성에 각 신문마다 큰 편차를 나타내고 있다.
회견 연락을 받은 신문이 ‘보도’를 우선하고 있는 데 반해 연락을 받지 못한 신문은 ‘신빙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씨는 지난달 31일 기자회견에 경향·동아·조선·중앙·한겨레 등 5개 신문을 선별해 부른데 이어 지난 5일 두번째 기자회견을 하면서 동아·중앙 등 2개사에만 연락을 취했다. 한 언론사 기자는 “두 번째 기자회견은 첫 회견 보도가 이씨 자신의 마음에 들었던 언론사를 선택한 것 아니겠느냐”고 분석했다.
동아·중앙은 5일 가진 두 번째 기자회견 내용을 6일자 사회면에서 비중있게 다뤘다. 그러나 대한매일·한국일보 등을 제외한 대부분의 신문은 이 기사를 받지 않았다.
기사를 받지않은 한 언론사 사회부장은 “1차 회견과 내용이 크게 다르지 않았고 이씨가 언론플레이에 능한 인물이라는 법조 기자들의 정보보고를 받았다”고 말했다.
국민일보는 6일 기사에서 ‘수배자의 언론플레이’라는 소제목으로 “시민들은 도피중인 이씨가 교묘한 언론플레이를 벌이는 배경에 의혹의 눈길을 보내고 있다”며 “이씨가 검찰과 정치인에 대한 국민적 불신을 교묘히 이용해 동정심을 얻으려는 것이 아니냐”고 말했다.
세계일보도 첫 기자회견 이후 2일자 사설 ‘지명수배자의 폭로와 보도’에서 “도피 중인 당사자가 기자회견을 하고 그 내용이 진위여부와는 관계없이 언론에 보도된 것은 이해할 수 없다”며 검찰의 엄정한 수사를 촉구했다. 그러나 김일 중앙일보 사회부장은 “어쨌든 뉴스의 인물이고 취재할 여건이 됐는데 물리칠 수 있느냐”며 “관계 당사자의 반론도 함께 다룬 만큼 문제될 게 없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같은 기사화 시비 배경에는 어찌됐건 취재 현장에서 제외된 신문사의 ‘원성’도 함께 담겨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 언론사 편집국장은 “주장만 갖고 쓰기로 치자면 기사는 넘쳐난다”며 기사의 신빙성에 문제를 제기하면서도 “정작 우리를 불렀더라면 어떻게 기사 처리를 해야 하는지 고민이 많았을 것”이라며 “누구를 부르고 누구를 안 부르는지 기준을 모르겠다”고 말했다.
김일 부장은 이씨의 선별 연락에 대해서 “그저 연락이 와서 받고 나갔을 뿐”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