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소유구조 개편을 두고 노조와 정부가 물밑 협상에 들어가면서 KBS·MBC가 갖고 있는 49% 주식의 환수문제가 수면 위로 떠올랐다.
18일째 사장실 점거 농성을 벌이고 있는 연합뉴스 노조의 김홍태 위원장은 지난달 말 한화갑 민주당 최고위원을 만난 데 이어 지난주 최재승 국회 문화관광위원장과 임병수 문화관광부 문화산업국장을 각각 만나는 등 정부·여권과의 접촉을 갖고 있다. 노조에 따르면 한화갑 최고위원은 소유구조 개편 요구에 대해 “문제가 잘 풀리도록 최대한 노력하겠다”고 말했으며 최재승 의원은 “노조의 입장을 적극 반영한 보고서를 작성해 청와대측에 전달하겠다”고 말했다. 반면 임병수 국장은 “정부가 약속해 줄 수 있는 부분이 아니다”며 부정적인 반응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 4일 청와대는 노조에 인편을 통해 “김근 사장이 소유구조 개편 방안을 제시하고 문화부가 승인하는 형식의 문서 절차를 거치자”고 밝혔으나, 문화부측은 KBS·MBC 주식환수에 따른 국유재산관리법상의 하자를 들어 문서화에 난색을 표했다.
이에 따라 노조는 정부의 의지표명을 촉구하는 한편 KBS·MBC 소유주식의 환수 방안에 대한 모색에 들어갔다. 한 노조 관계자는 “그럼 주식을 환수할 때는 절차를 따져 가져갔느냐”며 “의지가 있다면 형식은 문제가 안된다”라고 정부의 의지 박약을 비난했다. 노조는 6일 집행부 회의를 갖고 “정부가 서면으로 약속하지 않으면 어떤 타협도 받아들이지 않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김홍태 위원장은 파업 돌입에 대해 “못 들어갈 이유가 없다”며 “협상이 진행 중이니 과정을 지켜본 뒤 대처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는 현재 ASEM 주관 통신사로 지정돼 있어 노조가 파업에 들어갈 경우 국내 언론 뿐 아니라 ASEM 관련 해외뉴스에도 큰 차질을 빚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