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직 정리해고와 사내개혁 불이행으로 노조가 경영진 퇴진 운동을 선언한 KBS에서 이번에는 사측이 편성규약 제정 절차와 시안을 일방적으로 발표해 물의를 빚고 있다.
사측은 지난달 27일 “최고경영자는 제작실무자의 의견을 최대한 존중한다… 단, 자율성의 오남용의 경우는 제외된다” 등의 내용을 담은 편성규약안을 사내게시판에 공지, 11월 초까지 제정한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KBS 지회·PD협회·노조는 지난 4일 성명을 내고 “사측 안은 선언적 규정에만 그칠 뿐 상급자의 독단적 의사 결정과 일방적 지시를 방지할 제도적 장치가 없고, 오히려 ‘제작자율성의 오남용을 방지’하는 조항만 있다”며 “사장과 경영진만의 자율성을 보장하는 ‘악법’을 강행한다면 KBS는 내외의 웃음거리만 될 것”이라고 비난했다.
편성규약 제정을 위한 KBS 테스크포스팀에 참여했던 류한호 광주대 교수도 “사측이 제시한 편성규약안은 데크스포스팀의 협약내용을 완전히 무시했고, 제작자율성 보장이라는 기본 정신마저 묵살했다”며 “제작간부와 실무진 사이의 갈등을 조절할 구체적인 제도적 장치가 반드시 마련돼야 하며 이는 쌍방이 공동으로 구성하는 기구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KBS 노조(위원장 현상윤)는 경영진 퇴진 투쟁을 포함한 강도높은 단체행동을 결의하고 오는 10일부터 3일간 파업 찬반투표를 실시할 방침이다. 노조는 사내 개혁과제로 ▷제작자율성 보장 위한 편성규약 제정 ▷전문직제 및 보직연한제 실시 ▷정리해고 철회 및 고용안정 보장 ▷근로조건개선을 위한 인력충원 ▷난시청 대책없는 디지털 전환방식 재검토 ▷지역국 강화 위한 근본적 대책마련 ▷비효율적인 신축청사 관리 이관 방침 철회 등 모두 7가지 사항을 내걸고 있다. 노조는 이러한 요구사항이 관철되지 않으면 파업 찬반투표를 통해 경영진 퇴진투쟁을 비롯한 부분파업 및 총파업 등을 전개한다는 방침이다.
현상윤 노조위원장은 “제대로된 편성규약 제정과 전문직제 도입을 통해 자율성과 창의성있는 조직으로 전환하지 않으면 KBS의 미래는 없다”며 “이를 위해 강도높은 파업투쟁을 벌여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노조의 강력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KBS는 지난달 29일 환경직 사원 41명에 대한 해고 예고 통지서를 전달하고 다음달 1일 전원 정리해고를 강행한다는 방침을 굽히지 않고 있어 사태는 더욱 확산될것으로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