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노조(위원장 김홍태)가 18일 파업 돌입 의사를 밝히고 나섬에 따라 정부와의 소유구조 개편논의가 급류를 타는 한편 연합뉴스와 기사 전재 계약을 체결한 언론사들이 긴장하고 있다.
노조는 지난 11일 오후 쟁의대책위원회를 열어 파업 돌입을 결정하고 ▷소유구조 개편 노력을 납득할만한 방법으로 약속할 것 ▷대주주와의 협의가 연말까지 이뤄지도록 협력할 것 등 두 가지 사항을 정부에 요구했다.
노조의 이같은 결의는 9일 김근 사장이 노조에 보내 온 통보문에 따른 것으로 김 사장은 이 문서에서 정부·대주주와의 협상 결과로 “대통령에게 연합뉴스 구성원의 뜻을 전달했고 김한길 문화부 장관도 대주주와의 협상에서 개편안이 확정된다면 성의있게 다룰 것이라고 말했으며 박권상 KBS사장도 연합뉴스가 개편안을 마련할 경우 진지하게 검토할 것을 약속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 통보문에 따르면 김한길 장관은 “정부는 연합뉴스 독립성 보장을 위해 필요하다면…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는 것을 전제로 입장을 밝혀 노조의 반발을 샀다.
김홍태 노조위원장은 “김 장관의 발언은 독립성을 보장하겠다는 97년 당시 대통령 공약 보다도 후퇴한 것으로 연합뉴스 사태를 바라보는 정부와 김근 사장의 안이한 태도를 드러냈다”며 “더 이상 문제를 끌수 없다는 조합원들의 의견을 모아 파업 돌입을 결정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노조가 파업 돌입을 결의하며 요구 조건으로 내건 ‘정부의 소유구조 개편 약속’은 ‘서면 확인’을 주장하던 이전의 입장에서 ‘구두 약속’으로 한걸음 물러난 것이어서 협상의 여지를 남겨두고 있다.
노조의 파업 결의가 알려지자 노조-문화부-김근 사장의 협상이 다시 활발해졌다. 이들 협상은 그동안 단위 언론사 노조가 장관과 단독 면담해 약속을 하는 모양새에 문화부가 난색을 표하면서 답보상태를 거듭해 왔다. 협상의 핵심은 노사·대주주의 개편안을 정부가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에 대비해 정부 의지를 어떤 절차로 확인하느냐 하는 것.
12·13일 문화부와 입장을 조율해 온 노조는 14일 이홍석 문화부 차관보를 오전·오후 두 차례에 걸쳐 만났다. 이 차관보는 노조와 함께 연합뉴스 문화부 출입기자가 배석한 자리에서 “소유구조 개편 약속을 장관 이름으로 기사화해도 좋다”고 말했으나 오후에 장관이 난색을 표명함에 따라 결렬됐다.
연합뉴스 파업결의는연합뉴스기사 의존도가 높은 지방 언론사를 시작으로 언론계에 긴장감을 던져주고 있다. 한 지방 언론사 기자는 “연합뉴스가 정말 파업에 돌입할 것 같으냐”고 되물으며 “서울주재 기자가 2명밖에 없는데 연합뉴스가 파업을 하게되면 당장 지면 메울 일이 걱정”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는 또 지난 6월 9일 외교통상부와 ‘ASEM 주관 통신사’ 계약을 체결하고 국·영문뉴스와 사진을 제공키로 한 상태여서 18일 파업에 들어갈 경우 20일부터 열리는 ASEM 회의는 국내 뿐 아니라 전세계 통신·인쇄매체가 보도에 차질을 빚을 것으로 보인다. 한 영문뉴스국 기자는 “파업에 들어가면 참가는 하겠지만 그동안 아셈의 ‘아’자만 들어가도 모든 기사를 체크해 왔는데 그 노력이 아깝다”며 정부와의 협상 결과에 기대를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