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제9회 기자포럼-지방언론의 활로

공동제작 등 재정난 타개 방안 모색해야, 기자교육 등 언론전문단체 지원 강화 필요

김태수  2000.11.19 19:32:25

기사프린트

광고의 격감과 제2의 경제위기, 중앙언론의 시장잠식 등의 이유로 위기를 겪고 있는 지방언론의 활로를 모색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기자협회(회장 김영모)는 지난 14일 속리산 레이크 힐스 호텔에서 일선 기자 50여명이 참가한 가운데 ‘지방언론의 활로’란 주제로 제9회 기자포럼을 가졌다. 그 내용을 요약·정리한다.

▷김창룡(인제대 언론정치학부 교수)=전례없는 IMF 구제금융체제는 한국 경제계는 물론 사회 전반에 깊은 상처를 남겼다. 언론계도 예외가 아니어서 그 상처는 2000년 현재도 아물지 않은 상태로 남아있다.

한국언론사 부채가 1998년 총 3조 1118억원으로 전년 대비 18.2%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인 곳은 바로 지방신문사(29.0%)였고, 다음이 경제신문(27.2%), 중앙종합일간지(15.5%) 순이다.

한국처럼 정치와 경제, 기업 등이 과도한 중앙집중형태를 보일 때 지방언론의 회생노력이 기대만큼 성과를 올릴 수 있을지 미지수다. 지방의 열악한 광고시장을 둘러싸고 지방 언론사들끼리 이미 과포화한 상태에서 경쟁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외에도 지방언론시장까지 잠식하려는 중앙언론사와 경쟁을 해야하고 또 광고중심의 생활지인 지역신문과도 맞서야하는 어려운 형국이다.

지방언론사의 활성화를 위한 몇가지 방안을 제시하자면 △지방언론사간 자율적인 통·폐합 △언론사 사주의 편집철학이 경영의 투명성과 함께 보장돼야 하고 △기자협회 등 언론전문 단체에서 지방언론사 기자교육을 강화해야 하며 △중앙언론사에서 자사 선전으로 둔갑시킨 옴부즈맨 제도, 공정보도위원회 제도를 도입해 볼 만하다.

▷장호순(순천향대 신문방송학과 교수)=지방언론에 대한 지역주민들의 불신을 해소, 다시 말해 지방언론의 개혁을 전제로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있어야만 지방언론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현재 지역 주민들은 중앙중심의 보도로 인해 뉴스와 정보로부터 소외받고 있다. 지역언론이 정부로부터 지원받아야 할 명분은 헌법에 보장된 국민의 알권리 차원에서이다.

단 지원의 투명성과 군소신문 위주의 지원이 필요할 것이다. 계도지의 경우도 뉴스의 사회서비스 차원에서 본다면 반드시 부정적인 면만 있는 것이 아니다. 신문구독의 여력이 없는 빈곤 계층이나 노인 등을 위주로 배포된다면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지역신문의 체인화도 하나의 방안이 될것이다.

▷최연호(춘천 MBC 보도국 기자)=현재 지방 언론이 갖고 있는 가장 큰 어려움은 재정적 어려움이다. 내가 소속된 회사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현재 재정적인 어려움을 타개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택한 것이 각 계열사간 공동제작이었다. 신문들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한다. 심층적인 보도를 위해 각 언론사간 공동취재 등도 기획해 볼 만하다.

또한 지역언론의 부정적인 이미지 개선을 위한 노력도 필요하다. 이를 위해 언론인 교육이 활성화 돼야한다. 중앙의 언론 관련 단체, 언론재단들이 지역 언론인들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교육에 보다 많은 노력을 해야 한다.

▷김일환(광주일보 편집부 차장)=지방 언론 활성화 방안은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두가지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관이 배제된 지방신문위원회의 구성이다. 지방신문위원회의 역할은 언론에 대한 심의 평가를 통해 건전한 언론을 육성·발전시키고 지역 언론의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하는 종합컨설턴트의 역할이다.

두번째는 현재 기자협회가 추진중인 지방신문발전지원법을 제정해 지방언론을 활성화 시켜야 한다.

▷김주철(충청일보 제2사회부장)=원칙적인 얘기를 하겠다. 지방언론의 활성화는 언론의 존재이유이기도 한 비판과 사회감시의 기능을 제대로 할 때 가능하다. 언론이 언론다울 때 독자들로부터 신뢰받을 수 있고, 독자들로부터 신뢰를 받을 때 언론의 존재가치를 부여받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