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겨레의 올 한해 적자 예상액은 60여 억원. 이 가운데 지면 감면과 자체 경비 절감, 외부 사업 등으로 30억 원 이상을 줄인다 하더라도 27~28억원의 적자는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사측은 일단 10월 상여금 지급을 늦추고 노조와의 협상을 요구하고 있다. 년 600% 상여금 중 10·12월에 각각 지급될 13여억 원씩의 경비를 줄이면 일단 올해 적자는 면할 수 있다는 계산에서다. 31일 상여금이 나오지 않자 노조원들은 1일 아침 회사 앞에서 피켓팅 시위를 했다. 출근 중에 노조와 마주 친 최학래 사장은 “상여금 체불은 지나친 표현 아니냐”며 “곧 지급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에 앞서 지난 달 30일 부장급 이상 70여 명의 전 간부들이 모인 확대간부회의에서는 훨씬 더 강도높은 논의가 이뤄졌다. 이 날 회의는 작년과 올해에 이어 내년까지 적자가 예상된다는 경영진의 판단에 따른 것. 3년 연속 적자가 계속될 경우 회사의 신용등급에 막대한 차질을 불러올 수 있다는 것이다.
저녁 8시에 시작해 새벽 1시경에야 끝난 이 자리에서 사측은 임금 동결과 상여금 200% 삭감 뿐 아니라 발행 면수 재검토와 전 직원의 무급 휴직 순환실시까지 거론했다.
사측안은 부장대우급 이상 120여 명의 전 간부로부터 명예퇴직 희망자를 접수하고 명예퇴직을 신청하지 않은 사람은 6개월의 무급휴직을 의무 실시토록 하는 것. 그 이하 직급의 사원은 3개월 무급 휴직을 순환실시하는 방안도 함께 논의됐다.
사측의 한 간부는 이에 대해 “어려운 상황에서 그저 아이디어 수준으로 나온 것일 뿐”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노조는 “회의 이튿날부터 전 직원에게 전파하도록 한 것은 사측의 공식 입장을 밝힌 것 아니냐”면서 “노조는 동의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한 기자는 “편집국 무급 휴직을 실시하면 팀별로 인력난이 가중돼 실제로는 20%의 인원을 줄인 효과가 날 것”이라고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