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공정경쟁규약 개정안 시행을 앞둔 지난달 24일, 한 신문사 광고국에서 각 지국에 공문을 내려보냈다. 요지는 ‘규약이 강화됨에 따라 각 지국에서 보유한 판촉물을 10월말까지 처리해 부수 확보에 최선을 다하는 한편 타사의 위반행위를 철저히 감시해달라’는 것이었다.
개정된 신문공정경쟁규약에 대한 기대와 우려의 일단을 보여주는 사례다.
실제로 한 신문사 판매국 간부는 “주요 신문들의 경우 규약 개정 전에 경품을 말 그대로 폭탄처럼 퍼부었다”고 전했다. 이 간부는 “어차피 판매시장의 공세도 동아, 조선, 중앙 등 3사 위주로 갈 수밖에 없다. 지방지를 포함해서 여건이 되는 신문이 어디 있겠는가”라고 반문했다. ‘이제까지 실컷 확장해놓고 앞으로 공정하게 하자’는 격이라는 지적이다.
실제 서울 지역 몇몇 신문들의 경품 공세에 대해 지방지측에서 체감하는 불만과 우려는 상당하다.
매일신문의 경우 2일자 1면에 ‘고가경품·타신문 끼워팔기…중앙지 불법판촉 극성’ 제하 기사를 비롯해 2개면에 걸쳐 이 문제를 다루기도 했다. 서울 지역 일간지의 불법 판촉사례를 공개하며 이같은 ‘무차별 세확장’으로 지방여론, 지방언론의 위축이 우려된다는 내용이었다. 매일신문의 편집국 간부는 “보도가 나간 이후 서울 지역 언론에서 ‘당신들은 경품 안 뿌리냐’고 반박하길래 알아봤더니 고작 부채 같은 소품 수준이더라”며 “이번 달은 대구, 다음 달은 부산 식으로, 조직적으로 이루어지는 경품 공세가 심각한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광주지역의 한 기자도 “아파트 단지마다 서울 지역 신문들이 테이블, 킥보드, 에어컨선풍기 등을 쌓아놓고 확장사업을 벌이는 장면을 흔하게 볼 수 있다”면서 “여기 신문들은 경영자체가 어려운 형편이기 때문에 대응은 꿈도 못 꾼다”고 전했다.
규약 개정을 전후로 신문 판매시장은 특히 동아, 조선, 중앙 3개사의 공세에 전례 없는 불만과 위기감이 팽배했던 셈이다.
이에 대해 공정경쟁위원회의 한 관계자는 “물론 이들 3개사가 시장정화의 주 책임을 지닌다고 할 수 있다”면서 “일단 규약이 강화됐고 발행인들도 중지를 모은 만큼 엄격한 상호감시와 함께 실천의지가 담보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새출발’에 대한 비관론도 여전하다.
한 판매국 간부는 “규약 강화에 따르자니 지국 운영이 어렵고 그렇다고 기존 틀을 유지하자니3사의물량공세를 배겨날 수 없다”며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할 상황”이라고 고충을 토로했다. ‘시장 정화’가 ‘시장 정리’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다. 규약 개정 이후 신문 판매시장이 어떤 양상을 보일 것인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