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근 사장에 대해 유보적이었던 사내 의견은 김 사장의 상여금 수령으로 반발이 불거진데 이어 지난달 26일 이영철 스포츠레저 부장이 김 사장에게 보내는 공개편지를 노보에 싣자 또다시 찬반 양론으로 갈렸다.
이 부장은 이 편지에서 김 사장을 ‘K형’이라고 호칭하면서 “사장 취임 반대에 앞장섰던 본인은 지휘체계나 도의적으로도 보직부장을 맡을 수 없으니 11월 인사에서 보직을 면해달라”고 밝혔다.
이같은 파문은 30일 노조가 노정선 업무상무에 대해 윤리위원회(위원장 정남기 민족뉴스취재본부장)에 징계를 요구하고 나서면서 더욱 커졌다.
노조는 지난달 30일 윤리위에 제출한 징계 심의서에서 “노 상무가 지난달 17일 문화관광부 출입기자를 불러 “골프 부킹 메카니즘을 알아 봐 달라”고 부탁했으며 이후 이같은 사실이 노조 게시판에 올라가자 노조 간부를 불러 “사실과 다르니 글을 삭제하지 않으면 수사의뢰하겠다”고 엄포성 발언까지 했다”며 청탁과 품위유지, 공정한 직무수행 등의 조항에 위배된다고 밝혔다.
노정선 상무는 지난 9월 22일 주총 시간을 앞당겨 김근 사장 선임안 통과를 주도한 간부로 사원들의 지목을 받은 바 있다.
연합뉴스는 김근 사장 취임 전까지 김 사장을 수행했던 박종문 한겨레 논설위원이 지난달 23일 한겨레에 사표를 내자 연합뉴스 입성여부를 두고 다시한번 술렁였다.
연합뉴스 간부들은 지난달 말 사장과의 상견례를 겸한 점심식사에서 김 사장에게 이같은 소문에 대해 질문을 던졌다. 김 사장은 이때 폐쇄적인 언론계 인사이동을 지적하는 한편 “비상식적인 인사를 하지는 않겠다”고 답변했다.
한 간부는 이같은 내부 분위기에 대해 “안정적인 분위기는 앞으로 잡아나가면 될 것”이라며 “다만 이번 사태를 겪으면서 돌이킬 수 없을 만큼 정서적인 골이 깊어질까 걱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현재 진행 중인 노사 임금협상에서 노조는 19%대의 임금 인상을 요구하고 있으나 사측은 5%대를 제안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