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지방여론 지방기자에게 들어야지..."

대통령 업무보고 청와대 출입만 취재 / 현장접근 안돼 "간담회도 안하나"불만

김상철  2000.12.09 00:00:00

기사프린트

지난달 말부터 김대중 대통령이 경북, 대구, 울산, 부산, 경남, 전남, 광주 등지를 돌며 시도 업무보고를 받고 지나간 자리에는 조금씩 조금씩 현지 기자들의 불만이 쌓여갔다.

업무보고 현장을 청와대 출입기자들이 취재하고 정작 해당 시도 출입기자들은 그 자리에 참석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사실 업무보고 현장을 시도 출입기자들이 취재한 전례는 거의 없다.

기본적으로 대통령의 행보는 청와대 출입기자들이 취재하는 게 원칙이었다는 설명이다. 한 청와대 출입기자는 “청와대 출입기자가 없는 신문은 문제가 될 지 모르겠지만 늘 그래왔던 일이었고, 모니터 중계가 되기 때문에 취재에 별 어려움은 없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지방지 기자들은 여전히 불만을 삭히지 못하는 표정이다. 기자들은 업무보고는 물론 별도의 기자간담회나 기자회견도 없어 대통령 취재를 원천적으로 차단 당한 셈이라고 지적했다.

광주지역의 한 기자는 “지역경제가 전반적으로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에 보다 다양하게 지역여론을 수렴할 필요가 있었다”며 “일각에서는 ‘아무래도 좋은 소리 안 나올테니까 자리를 피한 것 아니냐’는 지적도 있다”고 말했다. 시도청 출입기자들이 이같은 문제를 들어 사전에 청와대측에 항의의 뜻을 전했지만 ‘다른 지역도 마찬가지였다’는 설명을 들었다는 전언이다.

광주지역 일선 기자들이 참여하는 인터넷 사이트 ‘뉴스통’(newst-ong.co.kr)은 “광주시 기자실의 경우 기자들이 예전에 시끄럽다는 이유로 방송시설을 끊어놨기 때문에 대부분 공보실 스피커에서 흘러나오는 목소리 받아 적기 바빴다”고 당시 정황을 설명하기도 했다.

‘직접 취재’가 안되는 데 대한 불만은 다른 지역도 마찬가지다. 대구 지역의 한 기자는 “전에도 그래왔기 때문에 이해하는 부분도 있지만, 지역사정 보고 받고 기업인 한두명에게 얘기 듣는 것으로 끝나니 불만이 없을 수 있겠느냐”고 말했다.

부산의 한 기자 역시 “현지 기자가 소외되는 데 대한 문제제기가 있었다”면서 “특히 지역방송의 경우 카메라가 접근하지 못하니까 취재가 어렵다”고 전했다.

이에 대해 청와대측은 “업무보고는 모니터로 다 중계되고 지금까지 시도 출입기자가 참석한 예도 없었다”며 “청와대 출입기자 위주로 인원을 제한한 이유는 일단 업무보고 석상의 자리가 부족하고 시도청 출입기자의 현장 취재를 허용할 경우 어느신문사가 들어가야 할지 절차가 복잡해진다”고 밝혔다. 또 간담회나 기자회견을 갖지 않은 것과 관련 “지역행사 참가일정과 맞물려 업무보고를 받았기 때문에 시간적인 여유가 없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