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기간행물법(정간법) 개정과 언론발전위원회(언발위) 설치를 촉구하고 나선 언론개혁시민연대(상임대표 김중배·언개연)가 본격적인 대국민 행동에 돌입했다.
언개연은 16일 프레스센터 1층 로비에서 소속단체 회원 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신문개혁법 제정 및 국회 언론발전위 설치 촉구를 위한 대국민 서명운동 발대식’을 갖고 연내로 이를 실현시키기 위해 총력 활동을 벌이기로 했다.
이날 발대식에서 성유보 민주언론운동시민연합 이사장은 “한국의 언론은 ‘신권언유착’을 통해 시민사회 위에 군림하는 권력 기관으로 자리잡았다”며 “언론의 편파 왜곡보도를 막고, 국민을 위한 언론으로 거듭나게 하는 유일한 길은 정간법 개정과 국회에 언발위를 설치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언개연은 대국민 서명운동과 더불어 12월초까지 현업 언론인, 시민·사회단체 대표 등을 대상으로 서명운동을 벌여 국회·정부기관 등에 청원하기로 했으며, 22일 언발위 구성 결의안 서명의원과 국회 운영위원·문화관광위원 간담회, 29일 국회 앞 집회, 12월초 명동성당 농성 등을 전개할 계획이다. 이미 민주당, 한나라당, 자민련 등 3당 총재와 대표, 원내총무, 정책위의장 등에 면담 요청서를 보낸 바 있는 언개연은 16일 목요상 한나라당 정책위의장과 만나 언발위 조속 설치 입장을 전달했다. 이 자리에서 목요상 정책위의장은 “여야 합의를 통해 진행하는 게 바람직하다”며 “언발위를 국회의장 직속으로 두느냐, 문화관광위 직속으로 두느냐 하는 문제는 논의의 여지가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반면 여당인 민주당은 언개연의 면담요청에 대해 아직 공식답변을 보내지 않고 있다.
한편 기자협회(회장 김영모)는 16일부터 곧바로 기자회원들을 상대로 서명운동에 돌입했다. 기자협회는 각 시도협회와 지회에 서명용지를 발송했으며 30일 열릴 운영위원회에서 정간법 개정과 언발위 설치에 대한 총의를 모을 방침이다.
이에 앞서 언개연은 13일 정간법 개정 입법청원서를 국회에 제출했으며 청원안은 해당 상임위인 문광위로 넘어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