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8년 11월 22일자(56호)에는 19일자 경향신문 인사가 화제에 올랐다. 조용중 편집국장을 주미·일특파원으로 발령낸 것. 편집국장을 특파원으로 발령한 전례도 없었을 뿐더러 미국과 일본, 양국을 겸임하도록 한 발상이 ‘기발하다’는 평이었다. 이 기사는 ‘미국과 일본을 행동반경으로 삼는다면 실제로 전 세계를 커버할 수 있는 거리인즉, 차라리 순회특파원으로 타이틀을 붙이는 게 현실적’이라고 지적했다.
기자폭행 공동대응 결의
○…60~70년대는 취재기자에 대한 폭행·연행 사건이 빈번했다. 71년 11월 26일자(209호)는 23일 열린 출입기자 대표자 회의 결과를 보도했다. 이날 참석자들은 ‘언론인이 수사기관에 연행 또는 구속되거나 폭행 당하는 등 보도자유가 침해되는 사건에 대해서는 어떤 압력에도 불구하고 이를 보도한다’고 결의했다.
대량해직 ‘사주 증언’촉구
○…‘학살 진상규명 새 국면 돌입’. 88년 11월 25일자(521호) 1면 머리기사 제목이다. 21일 열린 국회 문화공보위 청문회에서 80년 당시 보안사에서 보낸 ‘문제 언론인’ 수보다 훨씬 많은 수의 언론인들이 해직됐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언론계가 발칵 뒤집혔다. 80년 8월 16일 이수정 문화공보부 공보국장이 작성한 ‘언론인 정화결과’라는 자료에는 해직언론인의 60%가 언론사 자체 인사로 해직된 것으로 나와있었다. ‘학살 관계자들은 단죄되어야 한다’, ‘사주들은 즉각 증언대에 서라’는 요구가 언론계 안팎에서 빗발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