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언론-시민단체 신뢰 구축 최우선"

'생산적 긴장관계'유지...협동.연대 강화해야/언개연 '제3회 NGO워크숍'개최

서정은  2000.12.09 16:01:12

기사프린트

자본과 국가권력을 감시·견제하는 공공영역의 두 축인 언론과 시민단체. 이들의 바람직한 관계는 무엇일까.

23∼24일 일선 기자들과 시민단체 활동가 30여명이 충주 아이템플 문강연수원에서 이 묵직한 주제를 화두로 삼아 진솔한 이야기를 나눴다.

언론개혁시민연대(상임대표 김중배)가 올해로 세 번째 여는 ‘시민사회단체 관계자 및 현업언론인 워크숍’에서 참석자들은 언론과 시민단체가 서로에 대한 신뢰를 구축하는 일이 시급하다는 데 뜻을 같이했다.

김호기 참여연대 협동사무처장(연세대 사회학과 교수)은 ‘생산적 긴장관계’를 강조하며 시민단체와 언론의 적극적인 협동과 연대를 강조했다. 김 처장은 “지난 몇 년 간 젊은 기자들을 중심으로 시민단체에 대한 공감대가 확산됐다는 점은 긍정적”이라면서도 “시민단체에 대한 ‘시민없는 시민운동’‘백화점식 시민운동’ 등 스테레오타입 식의 보도는 제고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이상현 세계일보 기자는 “지난 총선연대 활동을 취재하면서 시민없는 시민운동을 느꼈고 따라서 시민의 적극적 참여를 바라는 마음으로 비판 기사를 썼다”며 “언론의 비판을 스테레오타입식 보도로만 폄하한다면 신뢰관계가 생길 수 없다”고 말했다.

큰 단체의 활동만 집중적으로 보도하는 언론에 대한 불만도 이어졌다.

임원택 국제옥수수재단 사무처장은 “지명도 없는 단체라도 중요한 활동이 있으면 적극 기사화해 달라”고 주문했다.

임순혜 KNCC 모니터팀장도 “총선연대 활동 이후 NGO관련 보도가 현격히 줄었고 특히 시청자단체의 활동이 급격히 늘어났지만 몇몇 대표적인 단체 활동만 소개할 뿐 전체적으로 보도가 너무 인색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성시윤 중앙일보 NGO담당 기자는 “잘 알려지지 않은 NGO를 보도함으로써 시민단체와 시민들의 가교역할을 하고 있다”며 “시민없는 시민운동을 타개하는 수단으로 언론을 적극 활용해 달라”고 당부했다.

김광석 바른지역언론연대 사무총장은 지역언론·단체·행정기관의 ‘생산적 긴장관계’를 강조했다. 지역언론이 아무리 행정기관의 문제를 제기해도 지역단체가 결합되지 않으면 힘을 받지 못한다는 것. 김 총장은 실례로 “당진에서는 지역자치단체 판공비 문제와 관련해 지역언론과 NGO가 적극 연대해 정보공개를 이뤄냈지만 NGO가 없는 김포에서는 지역언론이 문제를 제기했어도 공허한메아리에 그쳤다”며 “건전한 지역언론·단체의 육성과 연대야말로 우리 사회가 나아갈 방향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