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대구·경북취재본부 기자들이 조용철 취재본부장의 기사삭제와 지연 보도에 항의하는 성명을 냈다.
대구·경북취재본부 이재혁 기자 등 5명은 8일 서울 본사에 ‘기사 누락 관련 시정을 요구한다’는 제목의 성명을 보내 “지난해 12월 26일 오전 포항발로 작성된 ‘포항남부서, 전 세무공무원과 업자 등 2명 구속’의 기사가 오후에 삭제됐다”고 밝혔다. 이들 기자는 또 “지난 한 해 국세청 직원 비리 관련 기사는 모두 4건이었는데 2건은 삭제됐고 나머지 2건도 명백하게 지연 처리됐다”며 “일련의 기사 처리과정에서 의도성이 다분하며 누구도 이러한 문제점을 내놓고 거론할 수 없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이들의 성명서가 전달되자 지방국은 최성희 기획위원을 파견해 진상 조사에 나섰으며 노조(위원장 조보희)도 10일 책임 소재를 분명히 가릴 것을 촉구했다. 박현채 지방국장은 “지역사회가 좁다보니 오래 근무하다 보면 사람들의 대면관계가 긴밀해지는 것은 사실”이라며 “그러나 진상을 가려서 사감이 개입됐다면 징계를 해야할 것”이라고 밝혔다.
회사측 진상조사와는 별도로 진상 조사에 나선 노조는 “단순한 기사 문제가 아니라 지방 취재본부의 구조적 문제”라며 “사측의 조사과정과 결과를 예의 주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 본부장은 기자들의 반발에 대해 “기사 자체나 사회적 비중으로 볼 때 함량 미달의 기사라고 판단했다”며 지역 연고 문제에 대해서도 “보는 사람에 따라 견해가 다를 수 있는 것 아니겠느냐”고 말했다.
연합뉴스는 99년 3월부터 5개 지역취재본부 체제를 운영하고 있으며 이 중 대구·경북지역을 제외한 4개지역 본부장은 서울에서 발령이 났으나 조용철 본부장은 지난 88년부터 대구에서 근무하고 있다.
한편 연합뉴스 사내에서는 이번 성명을 두고 “데스크의 기사 처리에 불만을 품은 기자들이 성명을 통해 목소리를 내는 것은 진일보한 문제제기 방식”이라는 반응과 함께 “사내에 언로가 트이고 조직이 건전하게 발전하는 계기로 삼자”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