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소유구조개편추진위원회(위원장 김원수 월간부 부장·추진위)가 ‘유상증자를 통한 공영 통신화 방안’을 소유구조 개편안으로 내놓았다.
추진위는 지난해 말 자체 개편안을 내놓고 신주를 발행해 유상증자한 뒤 공기업지분을 30~40%로 유지해서 공영통신사의 위상을 갖추고 재정 독립을 꾀한다는 방안을 사내에 제안했다.
이 방안의 소유구조 모델에 따르면 공기업들이 30~40%의 대주주가 되고 제휴 사업 가능성이 있는 IT업체가 20~25%, 금융기관 주주가 20%, 우리사주는 3% 수준의 지분을 갖게된다.
추진위는 지난 10월 발족 이후 AFP법을 모델로 한 연합뉴스사법과 통신언론진흥회법, 우리사주를 중심으로 한 민영화 방안을 중심으로 개편안 논의를 해왔으나 소유구조 개편 방법과 실효 측면에서 공영통신사 위상을 갖추고 안정적 재정확충, 대주주 주식환수와 국회 입법 절차등을 거치지 않는다는 점에서 이같은 방안을 내놓게 됐다고 밝혔다.
그러나 유상증자 방안은 현 대주주인 KBS, MBC가 유상 증자시 불참여하지 않겠다는 보장을 받아야 가능한 것이어서 결국 연합뉴스 위상독립의 관건은 정부와 대주주를 비롯해 차기 정권을 의식한 여·야 정치권의 의지에 달려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 공기업 투자 유치도 현재 이들 공기업이 구조조정·민영화를 추진 중인데다 연합뉴스의 작년 경영 실적이 20년 만에 첫 적자를 낸 상황이어서 투자 유치와 수익모델 제시가 관건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추진위는 사내 게시판에 올린 보고서에서 “금융계 등에서는 연합뉴스의 성장 가능성을 긍정적으로 보고있다”며 투자자 모집에 가능성을 내비쳤다. 또 “공기업 투자 유치가 결국 정부 영향력 아래 놓여있기는 마찬가지”라는 일부 지적에 대해 김원수 위원장은 “경영진추천위원회에서 7명의 위원들이 의무적으로 사장 후보를 추천하는 방식을 거치기 때문에 정부의 사장 선임은 막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추진위는 10일부터 사흘동안 사원들을 대상으로 한 설명회를 가진 데 이어 이번 주부터는 지방 순회 설명회를 갖는 등 의견 수렴 절차를 거쳐 노사 최종안을 내올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