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사 세무조사가 뜨거운 관심사로 떠오른 요즘 상황과는 또다르게, 20년 전엔 국세청에 대한 이례적인 협조 요청도 있었다. 71년 2월 8일자(167호)에 따르면 기자협회는 1일 기자들의 급료 실수령액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국세청에 협조의뢰 공문을 보냈다. ‘지방언론사 급료 조사단’을 구성해 회원사의 급료 실태를 파악하고 경영진에 개선을 요구하는 ‘생계비 이상으로 급여 인상 투쟁’의 일환이었다. 이같은 작업은 실효를 거둬 같은달 대부분의 지방언론사 사장들은 연내로 급료를 최저 생계비인 2만원 이상으로 인상하겠다고 조사단에 확약했다.
“해직언론인 복직 없이 언론 민주화는 요원”
○…88년 2월 10일자(490호)는 87년 IPI(국제언론인협회) 보고서의 한국 부문 전문을 게재했다. IPI 보고서는 특히 ‘정부 발표에 따르면 80년 해직언론인 수는 모두 714명으로 그중 20명만이 복직됐다. 또한 75년 동아일보와 조선일보에서 부당 해직된 200여명의 언론인 문제가 있다’며 해직언론인 문제를 주요하게 거론했다. 보고서는 이어 ‘민주화 과정이 진행되고 있는 6월 이후 복직된 언론인은 한명도 없다. 따라서 한국언론의 민주화는 요원한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고 밝혔다. 이 ‘요원한 것처럼 보이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해 공동대책기구가 결성됐다. 89년 2월 10일자(531호)에 따르면 기자협회, 동아투위, 조선투위, 80년해직언론인협의회, 민언련, 언론노련, PD연합회 등 7개 단체는 10일 ‘전국해직언론인 원상회복 쟁취협의회’ 발기인대회 겸 창립대회를 열었다. 해직언론인 원상회복과 피해배상을 위한 긴 여정이 다시 시작되는 순간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