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선기자들과 국민들 다수가 국세청의 이번 언론사 세무조사에 찬성하고 90% 이상이 결과를 공개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결과는 전국언론노동조합(위원장 최문순)이 한길리서치에 의뢰해 6~7일 전국의 일간지, 경제지, 스포츠지, 주·월간지, 방송사 기자 378명과 20세 이상 성인 남녀 600명을 대상으로 한 전화 여론조사(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서 ±4.0%)에서 나타났다.
먼저 언론사 세무조사에 대해 일선기자 75.4%와 국민 64.1%가 언론개혁과 조세평등 차원에서 찬성한다고 답했다. 언론개혁과 무관하고 정치적인 의도가 있어 반대한다는 입장은 기자와 국민 각각 19.0%, 32.9%였다.
세무조사 결과 공개 여부에 대해서는 기자 93.4%, 국민 92.4%가 공개해야 한다고 밝혀 공개하지 말아야 한다(기자 5.6%, 국민 6.9%)는 의견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았다.
조사 과정에서 사주들의 불법행위가 드러났을 경우 기자 91.3%와 국민 86.2%가 예외 없이 처벌해야 한다고 답했으며 불법행위는 밝히되 처벌은 말아야 한다는 의견은 기자와 국민 각각 7.1%, 12.9%에 그쳤다.
또 기자 82.8%, 국민 56.1%는 소유구조가 분산된 언론사와 집중된 언론사 간의 세무조사 관련 보도태도가 다르다고 보고 있었으며 다르지 않다는 평가는 기자 11.9%, 국민 26.1%였다. 보도태도가 다르다고 평가한 응답자 가운데 기자 92.7%, 국민 73.8%는 소유구조가 집중된 언론사의 경우 세무조사 관련 보도가 비호의적이고 편파적이라고 답했다. 세무조사가 언론개혁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는 기자와 국민 각각 47.6%, 40.8%가 언론개혁을 촉진할 것이라고 답했으며 아무 영향도 미치지 못할 것이라는 응답은 기자 40.5%, 국민 38.4%였다. 반면 기자 8.7%, 국민 15.4%는 언론개혁을 후퇴시킬 것이라고 답했다.
한편 이번 설문에서는 정기간행물법 개정 필요성에 대한 응답자들의 입장도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기자들의 93.4%(반드시 필요 54.2%, 어느 정도 필요 39.2%), 국민들의 85.8%(반드시 필요 42.2%, 어느 정도 필요 43.6%)가 정기간행물법 개정 필요성에 동감을 표시했다.
언론개혁의 핵심 사안을 묻는 질문엔 기자 50.3%, 국민 53.4%가 편집권 독립을 첫 손에 꼽았다. 반면 소유구조 개편(기자 37.6%, 국민 20.2%)은 기자들이, 판매시장 정상화(기자 7.4%, 국민 22.0%)는 국민들이 더 주요한 과제로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