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원칙한 사업 선정, 선심성, 외유 등 안팎에서 끊임없는 비판을 받아온 언론재단 ‘해외현장 심층취재 지원’ 사업이 올해부터 선정 및 지원방식을 달리한다.
언론재단(이사장 김용술)은 해외취재와 관련 그동안 각 부처별 기자실이나 지역 국장단, 00부장단별로 신청시 별다른 심사 없이 전액을 지원했던 관행을 탈피해 올해부터는 연초에 일괄적으로 취재 계획서를 접수받아 4∼5인 규모의 심의위원회에서 심의를 거쳐 선정하는 방식을 도입했다.
지원규모도 각 사업당 2500여만원이란 상한액을 정해 초과비용은 각 사나 개인이 부담토록 했으며 반드시 기사 게재를 의무화한다는 단서조항까지 포함했다.
심의기준은 공익성, 시의성, 독창성, 활용성 등 4개 항목으로 각각 25점씩 배점해 채점하고, 각 항목별 평가에 따른 득점순 및 최근 5년간 지원실적을 감안해 지원사업을 결정하게 된다. 언론재단이 이같은 지원방식을 공지하고 지난달 31일까지 신청서를 접수한 결과 총 22건의 사업이 신청을 마쳤다.
언론재단의 해외현장 취재지원 사업은 그동안 이른바 힘있는 부처 출입기자단 위주로 무원칙하게 지원돼 기자들의 원성이 높았다. 또 ‘해외 취재’ 명목이지만 취재 일정이 미비하고 거의 기사에 반영되지 않아 외유에 불과하다는 지적이 끊이질 않았다.
실제 지난해의 경우 모두 17건의 해외취재 지원이 이뤄졌지만 “이 가운데 지면과 화면에 반영된 경우는 대략 30% 정도”라는 게 언론재단 관계자의 설명이다.
해외현장 취재지원을 담당하는 언론재단 사업팀 한 관계자는 “국정감사에서도 지적이 많았고 내외의 비판 목소리가 높아 진행방식을 바꿀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다”며 “공정한 심사를 거치고 또 기사 게재 의무화 조항을 뒀기 때문에 외유나 선심성이라는 지적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선정되지 않은 곳에서 불만이 많을테고 관행처럼 압력과 로비를 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언론재단 임원진이 이를 어떻게 막아낼 것인가도 이번 사업방식 변화의 취지를 제대로 살리는 데 관건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 방송사 기자는 “힘있는 부처의 출입기자단에 기회가 더 주어지고, 공짜로 우르르 몰려나가는 꼴이었으니 현장취재가 잘 이뤄지겠냐”며 “언론재단의 심의가 제대로 이뤄질지 지켜볼 일이지만 아울러 기자들도 취재목적과 일정을 제대로 세워 반드시 기사에반영하고 사후엔 형식적인 보고서가 아닌 충실한 보고서를 작성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한 부처 출입기자는 “외화낭비라는 비난도 있지만 밖에 나가 견문을 넓히는 게 향후 취재에 도움이 많이 된다. 그런데 해외에서 보고 듣고 취재하고 왔으니 당장 기사로 쓰라는 것은 불합리한 측면도 있다”고 말했다.
다른 부처 공보관실 담당자는 “이번에 해외취재를 신청한 곳은 비행기 요금만도 만만치 않은데 지원한도 2500만원은 너무 적다. 언론재단의 어려움도 있겠지만 더 지원해줬으면 좋겠다”고 말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