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언론장악저지 특별위원회(위원장 박관용 의원)가 KBS를 상대로 불공정보도에 대한 해명과 사과를 요구한 것과 관련 KBS 보도국 기자들이 “언론개혁의 본질을 흐리려는 정치적 의도인 만큼 좌시하지 않겠다”며 강력 규탄하고 있다.
KBS 지회(지회장 배종호)는 13일 긴급 운영집행위원회를 열고 한나라당의 공개질의서와 관련해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기자들은 “한나라당이 KBS의 불공정 보도 사례를 지적하며 질의서를 보낸 것은 다분히 정치적 목적으로 KBS를 겨냥한 것이기 때문에 결코 좌시할 수 없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기자들은 또 “한나라당이 언론개혁의 본질을 흐리기 위해 공영방송 문제로 여론을 호도하고 있다”며 KBS의 단호한 대응을 촉구했다.
한 보도국 기자는 “한나라당이 정부와 KBS를 동일선상에 놓고 정쟁의 수단으로 공영방송을 공격하고 있다”며 “여든 야든 언론개혁의 수단인 세무조사를 정치적 목적으로 활용하는 것은 절대 좌시할 수 없다”고 경고했다. 다른 한 기자는 “KBS를 음해하는 동아·조선·중앙과 한나라당에 회사가 보다 단호하게 대처해야 한다”며 “정치권 눈치보기식 보도행태가 있어서는 안되며 공영방송으로서 성역없는 비판과 견제 역할을 잃지 말아야 한다”고 말했다.
KBS 지회는 오는 20일을 전후로 한나라당의 정치적 의도를 비판하고 회사측의 단호한 대처를 촉구하는 입장을 담은 성명서를 낼 방침이다.
한나라당은 12일 KBS를 방문해 현 정부 들어 KBS의 편파·왜곡, 불공정보도가 지속되고 있다며 KBS의 불공정 보도 사례를 지적한 12쪽 분량의 공개질의서를 박권상 사장 앞으로 전달하고 20일까지 성의있는 해명과 사과, 재발방지 조치를 요구했다.
한나라당이 지적한 불공정 보도사례는 ▷5일간의 한빛청문회를 4시간만 중계했고 ▷김대중 대통령 기자회견은 9분 15초 보도했지만 이회창 총재 기자회견은 1분 44초 보도해 의도적으로 축소했으며 ▷지난 6일 이 총재 대표연설을 9시 뉴스에서 11번째 아이템으로 취급해 대통령 보도에 비해 심하게 폄하·축소 편집했다는 것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