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기사로 인해 깨진 한미 정상회담 보도 엠바고가 양국간 외교 관계에 영향을 끼치면서 인터넷 보도 엠바고에 대한 논란이 일고 있다.
정상회담이 청와대 기자실에 알려진 것은 14일 오후. 공보실은 기자들에게 이같은 사실을 알리면서 15일 새벽 5시까지 보도 자제를 요청했다. 이에따라 신문은 시내판부터 싣기로 합의했고 연합뉴스 기자는 브리핑을 받은 자리에서 기자들에게 “밤 10시에 기사를 올리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 기사는 14일 오후 8시 34분에 코리아타임스 인터넷 뉴스에 처음 보도됐다. 이어 연합뉴스가 10시에 기사를 올렸고 22분 뒤에 한국경제가, 10시 50분 경에는 조선과 중앙이 연달아 인터넷 신문에 기사를 게재했다. 이어서 동아가 오후 11시 2분에 기사를 올리자 인터넷 상에서의 보도 자제는 사실상 무의미해졌다.
최초로 기사를 올린 코리아타임스 기자는 “기사를 써놓고 나서 인터넷부에 전송했는데 사전에 상의가 없어서 이같은 일이 벌어졌다”며 “청와대에서 엠바고를 걸 때도 인터넷에 대해서는 사전에 언급이 없었다”고 말했다. 인터넷 보도를 먼저 한 또다른 기자는 “시내판 기사를 위해 기사를 출고했는데 인터넷에 자동으로 올라가 기사가 게재됐다”며 시스템 상의 이유를 들었다.
엠바고 시간이 지난 15일 오전 7시경 인터넷에 기사를 올린 한국일보 기자는 “전날 기사를 송고하면서 인터넷 부서에 연락해 기사 게재 보류를 요청해두었다”고 밝혔다.
미국측은 주한 미대사관에서 연합뉴스의 기사를 통해 보도 사실을 처음 알게 됐으며 보도 이후 백악관에서 청와대에 항의를 해왔다. 또 미 백악관은 당초 워싱턴 현지에서 발표할 시간이었던 14일 오후 3시에서 만 하루가 지난 15일 오후 3시 30분 경에야 발표했으며 그 이유로는 한국 언론의 인터넷 보도에 대한 불만이 섞여 있는 것으로 관측됐다.
인터넷 보도가 이같이 불거지자 엠바고 적용의 범위에 인터넷을 제기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김대곤 청와대 공보실 비서관은 “정상회담 발표와 관련해서 엠바고가 깨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신문 보도는 잘 지켰지만 인터넷은 미처 생각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박준영 공보수석은 15일 오후 기자들을 만난 자리에서 “10여개 언론사 사이트가 먼저 보도를 했다”며“앞으로 인터넷상의 엠바고 문제에 대해서 공보실에서 대처 방안을 연구할테니 기자실에서도 논의를 해달라”고 말했다.
국제부의 한 기자는 “이유야 어찌됐건 국제적으로 망신스러운 일”이라며 “이번 일을 계기로 논의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청와대 출입기자들도 이번 보도를 엠바고 파기보다 인터넷 보도의 엠바고 적용문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한 출입기자는 “일 처리를 잘 못했다고 볼수는 있겠지만 엠바고 파기는 아니다”라고 말했으며 청와대 기자실 간사를 맡고있는 김진홍 국민일보 기자는 “지면 상으로 엠바고를 깬 것이 아니어서 기자실에서 별다른 조치를 취할 계획은 없다”면서 “이번 일을 계기로 인터넷 보도의 엠바고 논의를 하자는 분위기”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