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계자들은 지금까지 기본적인 현황을 파악하는 단계였으며 앞으로 본격적인 조사가 착수될 것으로 보고 있다.
벌써부터 주주, 간부들의 계좌추적 움직임이나 각종 의혹들이 제기되는 등 진행과정을 둘러싼 언론계 안팎의 관심이 여전한 가운데 국세청측은 “일부 언론사들만 기간을 연장해 오해를 사는 경우는 없을 것”이라며 예정대로 5월 7일까지 조사를 진행한다는 방침을 밝혔다.
사주 일가 계좌추적 진행
○…국세청에서는 신문사 별로 광고, 판매, 급여 등에 대한 자료와 각종 계약사안 등을 제출받아 분석해온 것으로 전해졌다. 한 신문사 관계자는 “조직도, 정관, 간부명단 제출을 요구 받았다”면서 “제지업체는 물론 신문사 지방지사에도 광고 등의 자료를 조사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한 국세청 출입기자는 “지난주에 조사요원들이 간부명단과 인적사항 등을 적는 양식을 보냈다. 타사도 비슷한 상황임을 고려하면 사주일가의 계좌추적도 진행되지 않겠느냐”고 관측했다.
실제 지난 1일 이주석 국세청 조사국장은 “법인세와 함께 주식이동, 자회사 관계, 사주를 비롯한 언론사 임직원들에 대해서도 조사한다”고 밝혀 정밀조사 방침을 밝힌 바 있다.
언론계에서는 국세청이 통상 기본 현황파악을 마치면 구체적으로 초점을 맞춰 집중 조사를 벌인다는 점에서, 다음달에 접어들면 어떤 부분에 주력하는 지 감지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와 관련 국세청에서는 “특별히 언급할 내용은 없다. 일정에 따라 진행할 뿐”이라고만 말했다.
일부 언론사 관련 의혹 제기
○…이같은 분위기에도 불구하고 언론계에서는 일부 언론사를 둘러싼 여러 의혹들이 제기되고 있다. 한 경제부 기자는 “94년 당시 조사를 되짚어갈 수도 있을 것”이라며 “특히 93년 카지노 비리 사건을 전후로 특정 언론사 사장의 지분 참여설이 설득력 있게 제기됐던 점에 비추어 이 문제가 다시 불거질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여기에 언론계 일각에서는 몇몇 언론사를 둘러싸고 상속세 탈루 사실을 적발했다거나 벤처자금을 불법 전용했다는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국세청의 한 출입기자는 이와 관련 “국세청에 확인하는 것도 어렵겠지만 아직까지 심각한 얘기들은 나돌지 않는 것 같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실제 조사는본사에서”
○…각 언론사에 상주하고 있는 국세청 조사요원들은 9시 출근, 5시 30분 퇴근을 계속하고 있다. 총무국 등 관련 부서 외에 기자들은 사실상 요원들이 있는 지 없는 지도 모를 정도라는 전언이다. 한 기자는 “요원들의 언론사 상주는 사실상 자료의 복사나 열람 정도일 것”이라며 “실제 분석과정은 본사로 복귀해 이루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