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방송협회 주최로 방송 3사가 생중계한 제4차 ‘국민과의 대화’는 휴일 황금시간대에 또다시 국민의 채널 선택권을 빼앗으며 대통령 관련 행사에 끌려가는 고질적인 방송 관행을 보여줬다.
협회와 방송 3사는 청와대와의 교감은 없었으며 자율적인 편성이라고 주장하지만 이를 그대로 믿을 사람이 얼마나 될까.
“전파낭비, 채널선택권 박탈이라는 지적에 대해 논의해본 적 없다”는 협회 한 관계자의 말은 수년째 어떤 개선노력도 하지 않았음을 보여주는 씁쓸한 대목이다.
대통령이 아무리 2년만에 국민과의 대화에 나섰다 해도, 채널선택권을 박탈한 전파낭비라는 비난을 받으면서 3사가 앞다퉈 생중계하는 관행은 하루빨리 시정돼야 한다.
주관사 한 곳만 중계하고 나머지 방송사는 메인뉴스를 통해 주요하게 보도해도 충분하다. 방송을 보지 못한 국민들을 배려한다면 시간대를 달리해 다른 방송사에서 재방송하는 방법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뉴스 가치를 판단하는 것은 시청자의 몫이지 방송사의 강요로 이뤄져선 안되기 때문이다.
방송협회장인 KBS 박권상 사장이 지난달 26일 국회 문광위에서 “3사 합동중계 방법이 더 개선할 여지가 있다면 성의있게 개선하겠다”고 말한 것이 단순한 면피성 발언으로 그치지 않길 바란다.
MBC, SBS 노조가 방송을 이틀 앞둔 27일에서야 ‘3사 합동중계를 취소하라’는 성명을 발표하면서 문제를 제기한 것도 안타까운 대목이다. 방송환경에 대한 감시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려면 보다 발빠르게 문제를 제기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노력이 필요하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