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꿈나무 21년 54억으로 자랐다’ ‘동아꿈나무 23년 61억으로 자랐다’ ‘동아꿈나무 국민성원 26년 73억 거목으로’ ‘동아꿈나무 27년 78억 거목으로 우뚝’….
동아일보는 꿈나무재단 발족 이래 매해 4월 1일자 신문에 몇 명의 학생들과 몇 개 교육기관에 얼마의 장학금과 지원금을 지급했는지 게재해왔다. 재단설립은 최초 기탁자인 오달곤씨(85년 작고)가 71년 ‘가난한 영재들을 위해 장학금으로 써달라’며 100만원을 기탁한 데서 비롯됐으며, 이후 기탁자들의 성금은 지금까지 계속되고 있다.
이같은 취지를 받들어 동아일보는 85년 불우학생 지원 등 각종 공익사업을 목적으로 3억원을 출연, 꿈나무재단을 설립했다. 여기에 권희종씨가 설립 취지에 부응해 30억원 상당의 토지를 희사, 현재의 자산으로 키워졌으며 동아일보는 이후 2억원을 추가로 출연했다. 동아일보 역시 “75년 동아일보가 광고탄압을 받을 당시 보내온 국민들의 성원에 보답하고자 5억원을 출연했다”고 밝히고 있다.
그동안 꿈나무재단 지원사업의 상당부분이 동아일보사와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곳에 쓰여졌다는 점에서, 공익사업이라는 애초 취지에 어긋난다는 지적이 제기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실제로 최준철 꿈나무재단 이사는 “97년 취임할 당시 교육기관은 이전에 지원했던 곳을 준용해 지원했다”면서 “90년대 이후 추가 사업으로 진행된 교육기관 지원사업은 고려대, 고대부속고, 중앙고 등이 주요대상이었다”고 밝혔다. 모두 김병관 명예회장이 이사장으로 있는 교육기관들이다. 최 이사는 또 “85년 설립 이후 지원금은 주로 동아일보사 배달사원들의 장학금으로 지급됐다”고 언급했다. 이 때문에 공익재단의 이미지를 손상시킬 수 있다는 이사들의 문제제기도 있었다는 설명이다.
재단설립 10년을 넘어선 98년 전후로 지원사업 다각화를 추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난해와 올해 여전히 전체 지원금의 3분의 1 이상이 배달사원들을 비롯한 관련 교육기관에 집중돼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같은 양상은 크게 개선되지 않은 상황이다.
이와 관련 한 신문사 판매국 관계자는 “본사 차원에서 진행하는 배달사원 지원을 일종의 공익자금으로 한다는 건 문제가 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동아일보측은 이에 대해 “권희종씨 부친과 인촌선생은 절친한 사이로 사업취지에 공감해 재단기금을 출연한 것”이며 “동아일보사와 권씨 기탁금으로재단을 운영해 왔고, 동아일보사는 기금운영에 관여하지 않으니 만큼 특별히 문제될 사안은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다른 한편 꿈나무재단에서 별도 관리하고 있는 44억여원의 기탁금 운영도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감독청인 교육청측에서는 “원칙상 기탁금은 재단의 운영기금으로 포함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고 현재 세무조사 중인 국세청측에서도 이같은 입장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대해 최 이사는 “이사회에서도 기탁금을 재단 기금으로 합치자는 얘기가 나와 앞으로 기금에 편입해 운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사진설명:사진은 ‘꿈나무재단’을 소개하고 있는 동아일보 홈페이지 화면. 동아일보는 이 홈페이지에서 “매년 수백명의 가난한 학생에게 장학금을 지급하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