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조선,반격`나섰다

미디어면`통해`한겨레`등`공격

김상철 기자  2001.03.17 11:50:03

기사프린트

‘한겨레-대한매일 등 5개, 97~99년 법인세 납부 0’ ‘한겨레·대한매일 무가지 비율 높다’ ‘대한매일·한겨레 앞다퉈 조선·동아 공격’

지난 2월 10일자에 첫선을 보인 이후 조선일보 미디어면이 다뤘던 기사 제목이다. 창간 특집을 포함, 지금까지 다섯차례 제작된 미디어면 보도는 이처럼 한겨레와 대한매일을 겨눠왔다. 특히 한나라당 언론장악저지특별위에서 15일 ‘언론장악문건 내용대로 정권에 비판적인 특정신문을 공격하는 자료를 정부기관에서 제공한다’는 의혹을 제기한 다음날인 16일자에서 ‘언론문건의 친여신문이 반여신문을 비난’한다고 보도했다.

김대중 대통령의 언론개혁 발언 이후 언론문건에서 친여지로 분류된 한겨레와 대한매일이 관련 기사를 통해 세무조사 등에 적극적인 지지를 보내왔다는 것이다. 조선일보는 특히 2월 7일자 한겨레 ‘정연주 칼럼’에서 공정거래위 조사를 촉구한 직후 공정위 조사 발표가 났음을 강조하기도 했다. 아울러 김중배 MBC 사장, 김종철, 김근 연합뉴스 전현직 사장 등 한겨레 출신들의 언론사 사장 선임을 별도 기사로 다뤘다.

이에 앞서 지난 10일자 미디어면은 광고주협회 조사를 인용, ‘배달부수 중 무가지 비율은 4.3%로 한겨레가, 판촉물 제공으로 신문을 구입한다는 독자는 13.0%로 대한매일이 가장 많다’고 보도했다. 또 ‘혈세 151억원으로 대한매일 등 계도지 구독’ 제하 기사에서 대한매일에만 65억여원이 지불됐다고 지적했다.

한겨레의 ‘언론권력’ 시리즈와 관련 조선일보의 고위간부는 “잘못된 보도가 나갔을 경우 법적으로 대응한다는 것이 기본방침이며 지면을 통한 대응은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미디어면을 통한 잇따른 공세에 대해 한 조선일보 기자는 “일각에서 거론된 것처럼 한겨레에 대응하기 위한 별도 정보수집 등은 하지 않고 있다”면서 “미디어면 보도를 조선일보가 지면을 통한 전면 대응에 나선 것으로 볼 수는 없다”고 의미를 축소했다.

한편 조선일보는 15일로 예정된 주총을 연기했으며 한겨레에 대한 민사소송도 당초 일정보다 늦어져 다음주 중 제기할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