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은 터무니없는 억측을 토대로 한겨레가 현정권으로부터 제공받은 자료에 기대어 특정신문을 공격하는 것처럼 음해하고 권언유착 신문인 듯이 규정, 도덕성과 공신력에 엄청난 손상을 입혔다… 어떠한 중상·비방에도 굽히지 않고 언론개혁이 실현될 때까지 싸워나가겠다.”(한겨레 16일자 1면 사고)
한겨레가 근거없는 왜곡·비방의 실체를 법정에서 밝히겠다며 16일 한나라당을 고소하는 등 정면 대응에 나섰다. 한겨레의 언론개혁 보도를 지지해온 시민·언론단체들도 “한나라당의 음모론과 무책임한 비방은 언론개혁에 딴죽을 거는 불순한 정치 공세”라며 강력 비판하고 있다.
문제의 발단은 최근 한겨레의 ‘심층해부 언론권력’ 시리즈 보도와 관련 한나라당이 정부기관의 자료 제공설 및 ‘권언유착’ 의혹을 제기하면서 시작됐다. 한나라당 언론장악저지특별위(위원장 박관용)는 15일 “최근 일부 언론이 언론장악 문건의 내용대로 정권에 비판적인 특정신문을 목표로 공격하는 자료가 국세청 등 정부기관에서 제공하고 있다는 강한 의구심을 지울 수 없다”는 내용의 성명을 발표하고 “언론개혁을 빙자한 권력과 일부 언론의 비판언론 죽이기 행태는 또다른 권언유착이 아닐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한겨레는 16일자 신문을 통해 정면으로 반박하고 나섰다. ‘야, 언론 당략활용 노골적 의도’ 제하의 기사에서 “언론장악저지특위 소속 위원들은 ‘의혹제기 차원’이라며 발뺌하는 등 신빙성 있는 근거조차 내놓지 못한 채 입을 다물었다”고 비난했다. 이어 “차기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유력 언론사’와 연대를 강화하겠다는 셈법이 아니고서는 이들 언론사의 치부를 공격하는 보도를 근거 없이 권언유착이라고 비난하기 어렵다”고 신랄하게 비판했다.
실제로 박관용 위원장은 한겨레 기자와의 일문일답에서 “딱히 어떤 증거가 있는 게 아니고 원론적으로 의혹을 제기하는 수준에서 한 말”이라고 밝혀 증거조차 없는 무책임한 정치공세였음을 고스란히 드러냈다.
이어 한겨레는 ‘100% 발로 뛴 현장보고’라는 기사를 통해 한나라당의 ‘권언유착’ 의혹설에 정면으로 쐐기를 박았다.
한겨레는 “시리즈 첫회로 나간 ‘동아마라톤재단 의혹’은 동아투위 출신 해직기자들의 제보로 취재가 시작됐고, ‘편법으로 얼룩진 상속’은 조선일보 사주 일가에 대한 혐의고소사건 불기소 결정문을 입수해 수사관계자 등을 통해 당시의 조사 내용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시리즈 7회까지의 취재 경위를 조목조목 밝혔다.
김주언 언론개혁시민연대 사무총장은 “명확한 증거도 없이 특정 언론사가 정부로부터 정보를 받았다고 주장은 언론개혁을 정쟁의 도구로 삼으려는 의도로 밖에 해석할 수 없다”며 “아울러 확인되지도 않은 한나라당의 주장을 그대로 보도한 일부 언론 역시 명예훼손에 있어 면책 사유가 될 수 없다”고 지적했다.
민주언론운동시민연합(이사장 성유보)도 16일 성명을 내고 “한나라당은 언론개혁의 국민적 열망을 짓밟는 음모론과 근거 없는 루머로 언론개혁의 대의를 헐뜯지 마라”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