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겨레 언론 권력 시리즈는 사회적 이슈로 떠오른 언론사 세무조사 등의 보도를 단순 중계하는 데 그치고 있다는 자기반성에서 출발했다.
지난 2월 편집위원회 회의에서 “언론사 세무조사 보도가 정치적 의혹을 둘러싼 공방을 중계하는 데 그쳤다”는 비판이 제기된 것. 이같은 비판은 “세무조사가 왜 필요하고 언론권력의 실체가 무엇인지를 심층적으로 짚어주는 기획이 필요하다”는 것으로 연결됐고 이를 위한 특별취재팀은 소수 정예의 인원으로 사내에서도 비밀리에 구성됐다.
한겨레는 기존 매체 비판을 해온 여론매체부 기자를 중심으로 정치·경제·사회부 등에서 극소수의 인원만을 차출했다. 이들이 자료 수집과 탐문 취재에 나서면서 취재팀의 존재가 사내에 알려지자 편집국 내에는 ‘명단을 외부에 알리지 말라’는 지시가 내려졌다. 해당 언론사와의 일전을 염두에 둔 조치였다.
취재팀 기자와 같은 부서에 있는 한 기자는 “옆자리에 있는 취재팀 기자가 뭘 취재하는지는 굳이 물어보지 않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하지만 이제는 취재팀 운영 자체가 그다지 조심스럽지 않은 분위기다. 취재 범위가 넓어져 전방위적인 부서 할당이 이뤄지면서 특별취재팀의 소속 경계가 엷어졌기 때문이다. 한 기자는 “출입처에 나가지 않고 하루 종일 전화기를 돌리는 기자가 있으면 특별취재팀에 포함됐을 거라는 짐작을 하는 정도”라고 말했다.
시리즈가 계속되면서 특별취재팀의 취재 손길도 더 바빠졌다.
취재팀은 처음 시리즈를 준비하면서 자료 수집과 탐문 취재에 나섰지만 시리즈 분량만큼의 기사를 발굴하지 못했다. 한 취재팀 기자는 “자료를 토대로 1차 취재에 들어갔지만 획기적이거나 새로운 기사가 별로 나오지 않았다”며 “취재원 접근과 스트레이트 발굴이 딜레마”라고 말했다. 사회부의 한 기자는 “시리즈의 순서에 의미를 두지는 않았고 가장 먼저 확인이 된 ‘동아일보 마라톤 재단’ 문제로 결정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기사 발굴의 어려움은 시리즈 두 번째 기사가 나가면서 제보 홍수로 바뀌었다.
한 특별취재팀 기자는 “독자 제보만 하루에 4∼5건 정도”라며 “출입처 등에서도 제보가 들어오고 있다”고 덧붙였다.
남은 시리즈 분량과 내용에 대해 고영재 편집위원은 “말할 수 없다”고 밝혔다. 그러나 시리즈 1부의 분량은 제보 취재의 기사화로판가름날 것으로 보인다. 취재팀의 한 기자는 “독자제보 중에는 언론인 개인 비리에 대한 제보가 많아 이를 어떻게 처리할 지가 시리즈 분량에 영향을 미칠 것 같다”고 말했다.
사진설명:언론계는 물론 사회적 이슈로 떠오른 한겨레의 ‘심층해부 언론권력’시리즈. 한겨레는 세무조사 등의 중요 사안들이 단순 중계되는 것에 대한 자기반성에서 이 시리즈가 시작됐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