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보수지로 알려진 산케이 신문이 김중배 MBC 사장의 선임과 관련 정부가 방송 장악을 위해 사장 인사에 관여했던 것처럼 보도한데 대해 MBC가 산케이 신문에 공식적으로 항의하고 정정보도를 요구하고 나섰다.
MBC는 산케이 신문이 정정보도를 거부할 경우 법적으로 대응한다는 방침을 세우고 외국언론사에 대한 소송 절차 등 법률적인 검토작업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언론이 보도내용과 관련해 외국 언론사에 정정보도를 요구하고 나선 것은 이례적인 일로 결과가 주목된다.
관련기사 3면
산케이 신문은 지난 20일자 5면 머릿기사로 ‘한국언론 끝없는 진흙탕 싸움·정당, TV, 신문이 고소공방’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게재하며 “정부계 또는 친정부계로 분류되는 KBS나 MBC의 양대 방송국과 한겨레신문, 대한매일 등이 정부의 언론개혁 지지로 돌아 정부주도의 언론개혁에 비판적인 조선일보나 동아일보, 중앙일보 등에 대해 공격을 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 신문은 또 김중배 MBC 사장의 선임과 관련해서도 “실질적으로는 인사에 정부가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MBC의 사장에 최근 한겨레신문 사장 출신인 진보파의 김중배씨가 기용돼 화제가 되었다”며 “김 사장은 대통령과 동향인 전라도 출신이며 김대중 정부는 정권말기에 대한 대응책으로 매스컴장악에 안간임을 쓰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에 대해 MBC는 지난 21일 임원회의를 열고 ▷MBC가 마치 정부의 지시에 따라 조선일보 등을 비판하는 것처럼 보도한 것은 MBC에 대한 명예훼손으로 사실과 다르며 ▷김중배 사장과 관련해서도 정부의 영향력에서 벗어난 방송문화진흥회의 독자적인 결정이었다는 것을 확실히 알 수 있는데도 마치 정부의 보이지 않는 조정에 따라 선출된 것처럼 보도한 것은 악의적인 왜곡보도라며 강력 대응하기로 방침을 정했다.
MBC는 21일 산케이 신문과 같은 그룹인 후지TV 서울 지국을 통해 이같은 입장을 전달한 데 이어 조만간 산케이 신문에 정정보도를 요구하는 공문을 보낼 예정이다. MBC는 현재 외국언론의 경우 국내 언론관계법의 적용을 받지 않기 때문에 언론중재위를 통한 정정보도신청이 불가능함에 따라 산케이 신문이 정정보도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 곧바로 소송 절차를 밟을 예정이다.
이에 대해 기사를 쓴 산케이 신문 구로다 기자는 “외신기자들 사이에서는 김중배 사장에 대한인사가정부주도의 언론개혁과 맞물려 있다는 견해가 많다”며 “그러나 한국언론의 내부사정에 대해 깊이 모르는 부분도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해 서면을 통해 공식적으로 문제가 제기되면 정정보도 게재여부를 검토할 생각”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