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언론사를 소유하지 않겠다”는 원칙은 확인했지만 “대주주가 재경부인 대한매일과 연합뉴스의 개편 방식이 다를 것”이라는 내용의 발언은 실망스럽다는 것이다. 한 회사 관계자는 “대주주가 재경부건 KBS건 간에 중요한 건 정부 의지 아니냐”고 말했다.
문화관광부가 논의의 구심점을 각 사로 돌리고 있는 가운데 연합뉴스는 내부적으로 확정한 개편안에 경영진이 난색을 표명하고 있어 논의의 진전을 보지 못하고 있다. 연합뉴스 소유구조 개편추진위원회는 지난 1월 유상증자를 통해 공영통신사로서 위상을 재정립하겠다는 추진위 안을 내놓았다. 공기업과 민간 부문 등의 투자 유치를 통해 유상증자를 한 뒤 KBS, MBC 대주주의 지분을 낮추겠다는 것. 그러나 이 안은 개편안 확정 이후 두 달이 넘도록 가시적인 결과를 내오지 못하고 있다.
개편안의 핵심 관건으로 꼽히는 공기업 등의 투자 유치도 아직은 불투명한 상태다.
지난 5일 연합뉴스는 정치·경제·산업부 등 5개 부서가 팀을 꾸려 개편안에 대한 정부·정치권, 공기업, 금융권 등의 의견을 수렴했으나 긍정적인 답변을 얻지 못했다.
청와대와 문화관광부는 개편안에 대한 평가를 유보한 채 “대주주가 납득할 수 있고 연합이 독립할 수 있는 안이 마련되기를 희망한다”는 원칙론만 되풀이했고 문화관광위 여·야의원들은 “1국 1통신사라는 세계적인 추세 속에서 연합이 민간부문의 투자를 받는 것이 바람직한지 의심스럽다”는 견해를 보였다. 증권사, 은행 등 민간부문은 자본 회수가 단기간에 어렵고 뚜렷한 수익모델이 제시되지 않은 점 등을 이유로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공기업은 “정부 입장을 중시하겠다”고 밝혔다.
경영진은 이같은 결과를 토대로 23일 노조와 논의를 갖고 “실현 가능성 있는 안을 다시 찾아보자”는 의견을 전달했다. 조보희 노조위원장은 “유상증자안이 절대적인 안은 아니다”라며 “노사 합의가 이뤄져야 개편안을 추진할 수 있다는 생각에서 경영진의 공식 입장을 요구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김 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