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31일 있었던 민중대회를 바라보는 언론의 관심은 일제히 이 두 가지에 모아졌다. 정작 왜 이 집회가 열렸고 무엇을 주장하고 있는지는 언론의 관심 밖이었다.
방송3사는 31일 일제히 ‘대규모 도심 시위 충돌’(KBS), ‘도심마비’(MBC), ‘도심시위 혼잡’(SBS)이라는 제목으로 “한총련이 가세하면서 경찰과 투석전이 벌어졌으며”(MBC), “극심한 교통혼잡이 빚어져 주말 오후 시민들이 큰 불편을 겪었다”(KBS, SBS)는 내용만 부각시켜 보도했다. 화면 구성에 있어서도 집회 참가자들의 인터뷰나 주장보다는 경찰과 충돌하는 장면, 화염병 투석 장면 등에 대부분의 시간을 할애해 폭력시위를 부각시켰다.
신문들도 조선일보가 2일자 사회면 머릿기사로 ‘다시 도심서 난무한 화염병, 곳곳서 투석 도로점거…차량 1∼2시간 발묶여’라고 보도하는 등 비슷한 보도태도를 보였다.
이에 앞서 대다수의 언론은 30일자에(방송3사는 29일 뉴스) “민주노총 홈페이지 ‘열린마당’에 신종 화염병 제작방법에 관한 글이 올라왔으며, 31일 민중대회에 이 신종 화염병이 등장할 것이라는 첩보를 경찰청이 입수했다”고 보도했다. 그러나 누구나 들어올 수 있는 민주노총 홈페이지에 제조방법에 대한 익명의 글이 올라왔다고 해서 마치 신종화염병이 실제 등장한 것처럼 보도한 것은 신중하지 못했다는 지적이다.
반면 언론은 실제 등장하지도 않은 신종화염병에 대비해 경찰이 고무충격총을 들고 나온 것에 대해서는 ‘논란’ 수준으로 다루었을 뿐 크게 문제를 제기하지 않았다. 그러나 고무충격총은 생명까지 위협하는 것으로 이스라엘을 제외한 어떤 나라에서도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심지어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는 각각 3일자 사설에서 “경찰이 98년부터 최루탄을 사용하지 않고 있으나 더 이상 이 원칙을 지키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최루탄 사용을 부추기기도 했다.
특히 KBS와 MBC(4일), 조선일보와 동아일보(5일자) 등 상당수 언론은 “화염병을 던지는 사람은 학사관리·취업 등 사회활동에 불이익을 주겠다”는 내용을 정부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보도하면서도 처벌 방식의 비민주성에 대해서는 전혀 지적하지 않았다. 반면 한국일보는 6일자 사설로 ‘화염병 처벌 비민주적 발상’이라는 사설을 게재하고 “화염병 시위보다 더 위험할 수 있는 비민주적 발상을버리라”고주장해 차별성을 보였다. 박미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