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쇄적인 기자실 문화와 출입기자단 중심의 취재관행이 또 다시 도마위에 올랐다. 최근 인천공항 기자실에서 오마이뉴스 기자가 출입을 거부당한 사실이 공개되면서 시작된 기자단 개혁 논쟁은 언론개혁 분위기와 맞물리면서 적잖은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일선 기자들은 기자단 해체 주장과 점진적 개혁 주장이 엇갈리는 분위기다. 기자사회의 의견이 엇갈리는 것은 기자실이나 기자단의 문제가 우리 언론의 취재 시스템이라는 구조적인 문제와 맞물려 있다는 인식에서 비롯된다. 출입처 중심의 취재 구조가 바뀌지 않는 상태에서 기자실 개선은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결국 분야별 취재 등 언론사의 변화와 함께 브리핑 룸 운영 등 출입처의 변화 노력이 뒤따를 때 실효성 있는 대책이 나올 수 있다는 게 중론이다.
개선 내지 신중론을 펴고 있는 기자들은 “기자실 문제는 잘못된 취재 관행과 이를 방치하고 있는 언론사의 문제”라며 “이런 근본적인 문제를 내버려 둔 채 기자실에 소속된 기자들의 도덕성 문제로 접근해선 안된다”는 의견을 보이고 있다. 환경부를 출입하는 한 기자는 “기자단이 문제도 있지만 정보를 차단하고 있는 권력기관에 대한 압력 등 효용성도 있기 때문에 무조건 없앤다는 건 간단치 않은 문제”라며 “구체적인 대안이 없는 해체론은 공허하다”고 말했다.
기자단 해체를 주장하고 있는 기자들은 한국 언론의 질적 비약을 위해 폐쇄성과 정보독점의 온상인 기자단 조직이 반드시 사라져야 한다는 입장이다. 한 통일부 출입 기자는 “기자단을 해체하고 브리핑 룸 등 취재 편의공간을 두면 취재할 사안이 있는 모든 기자들이 자유롭게 출입하고 사용할 수 있게 된다”며 “일각에선 기자실을 개방하면 큰 혼란이 있을 것으로 우려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레 걸러지게 돼 있다”고 말했다.
시민사회단체들은 기자단의 즉각적인 해체에 무게를 두고 있다. 대전충남민주언론운동시민연합은 4일 성명을 내고 “잘못된 출입기자실 문화를 고치고 그릇된 출입기자단을 없애는 것이 언론개혁의 시작”이라며 “각 언론사와 출입기자단, 해당기관은 출입기자실 문화를 개혁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정운현 대한매일 문화팀 차장은 “대부분의 기자들이 기자실 관행에 문제가 있다고 공감하면서도 평소 별다른 계기가 없으면 인식하지 못하는 게 가장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병이 있다고 해서 반드시병원을찾는 건 아니라는 소리다.
정 차장은 타율개혁도 거론했다. “병을 앓고 있는 기자들이 스스로 병원을 찾는 노력이 필요하다. 하지만 기자실과 기자단이라는 달콤한 유혹에서 헤어나지 못하는 게 우리의 모습이라면 타율적인 개혁을 통해서라도 수술대에 올려지는 것을 감수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