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의주체와 제작비지급 방식 등으로 난항을 겪어온 KBS 시청자참여프로그램 ‘열린채널’이 이달 초 운영지침을 확정, 오는 30일 봄 개편에 맞춰 방송을 시작한다. 이로써 시청자들의 활발한 참여에 따른 작품의 원활한 수급과 차질 없는 실무 운영이 향후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KBS가 지난달 27일 시청자참여프로그램 운영협의회(이하 운영협)에서 성안을 마련해 사장 결재를 거쳐 공표한 운영지침은 그동안 쟁점이 돼왔던 심의주체와 제작비지급 문제를 일정부분 해소했다는 평가다. ▷KBS 심의실에서 수정·대체 보완을 요구할 경우 운영협이 필요한 조치를 취하고 ▷사전 제작지원으로 완성된 작품이 애초 기획안과 크게 다르지 않으면 비록 방송이 나가지 않아도 제작비를 환수하지 않도록 하는 등 시민단체의 요구를 대폭 수용한 것이다.
시민단체들은 그동안 KBS가 사전 심의의 최종 권한을 갖게 되면 퍼블릭 액세스권이 침해될 소지가 크고, 최종 선정에서 탈락한 작품의 제작비를 환수할 경우 섣불리 제작에 참여할 시청자와 단체가 없을 것이라는 점을 들어 우려를 표명해왔다.
KBS는 1TV를 통해 매주 토요일 오후 4시 30분부터 30분간 ‘열린채널’을 방송할 계획이며 지난달 16일부터 시청자들의 작품 접수를 안내하는 50초짜리 광고를 내보내고 있다. 현정주 KBS 시청자참여프로그램 관리부장은 “현재 공식 접수된 작품은 없고 실무진의 의견 검토를 의뢰한 기획서 한부와 중간제작물 한편이 들어온 상태”라며 “언개연을 통해 시민단체들의 작품 접수를 서둘러달라고 요청한 상태며 늦어도 4월 첫주까지 접수가 돼야 봄개편에 맞춰 방송 시작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여성연합은 호주제 폐지와 관련한 영상물을 곧 접수할 계획이며 민언련, 언개연, KNCC 등도 기존에 제작한 프로그램을 수정·보완하거나 새롭게 프로그램을 기획·제작하는 등 본격적인 준비에 나섰다. 서정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