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노사는 지난달 26일 소유구조 개편안 협상을 갖고 소유구조개편추진위원회(위원장 김원수)가 내놓은 유상증자안과 사측이 제안한 연합뉴스사법 제정안을 사원투표에 부쳐 최종안을 결정하기로 합의했다.
유상증자안은 KBS·MBC 등 현 대주주가 참여하지 않는 것을 전제로 공기업과 민간 기업의 투자를 유치해 공영통신사 위상을 갖추겠다는 방안이며 프랑스 AFP법을 모델로 한 연합뉴스사법은 국가와 ‘구독료 계약’을 체결, 재정안정과 국적통신사로서의 법적 지위를 보장받는 방안이다.
조보희 노조위원장은 지난해 말 이미 소유구조개편추진위원회가 내놓은 안을 사측안과 다시 투표를 부치는 것에 대해 “회사의 위상을 판가름짓는 중요한 사안인 만큼 사원들의 총의를 모아야 개편안을 추진할 수 있다는 판단에서 투표를 결정했다”고 말했다.
투표에 부쳐질 두 안은 그동안의 논의 속에서 ‘실현만 된다면 양 쪽 모두 이상적인 안’이라는 사내 공감대를 이루고 있어서 향후 연합뉴스 소유구조 개편은 어떤 안이 채택될 것인지의 문제보다 투표 이후 추진 방법과 실현 가능성에 초점이 모아질 것으로 보인다.
연합뉴스는 지난달 5일 ‘유상증자를 통한 공영통신사’ 방안에 대해 정부·국회와 공기업, 은행, IT업체 등의 의견을 물었으나 실현 가능성, 투자 유치 등에 회의적인 답변을 얻었다.
이번 사원 투표는 사측이 “실현 가능성을 낙관하기 어려우니 연합뉴스사법 등 다른 대안에 대한 의견을 모아달라”는 의견서를 노조에 전달한 데 따른 것이다. 사측이 연합뉴스사법을 제안한 배경에는 실현 가능성에 있어 유상증자안보다 우위에 있다는 판단과 함께 소유구조 개편 문제에 대한 정치권의 상황 변화도 한 몫을 한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남경필 한나라당 의원 등은 유상증자안에 대한 의견 수렴에서 “민간 투자를 받아 유상증자를 하는 것이 국적 통신사의 위상에 비춰 볼 때 바람직한지 우려스럽다”는 의견을 밝혔으며 연합은 이같은 정치권의 의견이 그동안 막연히 정부소유 언론사의 소유구조 개편만을 주장하면서 내심 회의적인 반응을 보여 온 것과는 달라진 모습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연합뉴스사법 초안 준비팀의 정일용 민족뉴스취재본부 기자는 “연합의 올바른 위상 정립을 위해서는 먼저 정부와 언론계의 관심이 필요하며 그렇게본다면 정치권의 상황도 달라지고 있다는 것이 내부의 판단”이라고 말했다.
사원 투표에 앞서 연합뉴스는 노사 양측의 위임을 받아 사내 전문가들이 두 방안에 대한 설명 자료를 준비 중이며 이 보고서를 사원들에게 배포한 뒤 이달 중에 투표를 실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