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일보 노조(위원장 홍은택)가 정간법 개정 등을 통한 타율 개혁보다는 내부의 의견 수렴을 통한 변화를 모색하고 나섰다.
노조는 노조 홈페이지에 ‘동아일보 어떻게 바꿀 것인가’를 주제로 토론장을 마련해 10일부터 20일까지 조합원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 노조는 개진된 의견들을 모아 회사측에 전달한 뒤 회사측과 발전방안에 대한 합의점을 모색한다는 방침이다.
토론회 개최와 관련, 11일자 노보는 “회사는 시장에서, 독자의 신뢰에서, 회사 내부에서 일어난 삼각파를 맞고 있다”며 “독자의 신뢰를 높여 시장에서의 지위도 공고히 하고 내부의 결속도 도모하자”고 제안했다.
홍은택 노조위원장은 “동아일보든 외부 언론개혁운동 세력이든 언론개혁의 본질은 신문이 독자들의 신뢰를 회복하는 것”이라며 “신문의 공정성, 심층성, 정확성을 통해 독자의 신뢰성을 회복하기 위해 포괄적으로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달 26일자 노보에 게재된 ‘다시 공정보도를 생각한다’ 제하 기사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노보는 ▷황태연 교수 관련 기사와 지향점 없는 남북관계 보도 ▷대우차 사태에 대한 무관심과 노동의 관점이 결여된 구조조정 보도 ▷중앙인사위 공직자 출신분포 보도에서 나타난 지역 갈등을 부추기는 편집 ▷삼성전자 이재용 상무보 취임 보도에서 나타난 재벌에 대한 문제의식 희박 등을 자사 보도의 문제점으로 꼽았다.
이어 “언론개혁에 대해 정치적 의도가 개입돼 있다고 보는 시각에도 일정한 근거가 있는 듯하지만 이런 우려와 동아일보가 공정성, 정확성 등을 확보하고 있느냐는 별개의 문제”라며 공정 보도를 통한 독자들의 불신 해소를 강조했다.
그러나 홍 위원장은 “지난 2월부터 3월초까지 진행된 노조 간부들의 논의 결과 ▷언론사 소유 지분 제한 ▷편집위원회 구성 ▷경영정보 공개 등 정간법 개정에 의한 언론개혁에는 대체로 부정적”이라며 시민단체 등이 주장하는 입법화를 통한 언론개혁에는 부정적인 뜻을 비쳤다.
한편 노조는 11일자 노보에서 한겨레의 ‘언론권력 시리즈’ 중 동아일보사와 관련한 내용에 대해 동아일보와 한겨레가 사실확인을 위한 공동 작업을 벌이자고 제안했다.
노조는 “지면을 통해 피해를 구제할 수 있는 언론사들끼리의 송사는 바람직하지 않다”며 “정확한 진실을 규명하기 위해 공동 확인 작업을 벌이는 방안을제안한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노조는 지난달 26일자 노보를 통해 “지하철 1호선 노선이 동아일보측의 압력으로 변경됐다는 한겨레 보도가 당시 지하철건설본부장, 담당사무관을 통해 확인한 결과, 사실이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또 ▷동아마라톤재단 ▷법인세납부 관련 기사에 대해서도 사실 왜곡 보도라며, 한겨레 언론권력 시리즈에 대해 “‘족벌언론=비판대상’이라는 시각이 앞선 무리한 추론과 의도적 편집”이라고 비판했다. 박주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