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동아-공정위 갈등 최고조

박주선 기자  2001.04.14 00:00:00

기사프린트

공정거래위원회가 동아일보 출입기자에 대해 출입금지 조치를 내리는 등 신문고시를 둘러싸고 동아일보와 공정위가 마찰을 빚고 있다.

공정위는 지난 7일부터 9일까지 일부 과사무실 출입문에 ‘동아일보 출입기자 출입금지’ 문구를 붙였다.

이같은 조치에 대해 동아일보와 기자협회, 신문협회 등 언론단체들은 국민의 알권리 침해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명했다.

기자협회는 “공정위 행위는 사회 감시로서의 언론의 역할, 즉 국민의 알권리와 언론자유에 대한 심각한 침해행위”라고 지적했다.

동아일보는 11일자 사설에서 “공정위가 신문고시 제정 작업과 관련해 비판적인 보도를 했다는 이유로 취재를 봉쇄한 것은 그 발상 자체가 위험스럽기 짝이 없다”며 “만일 보도 내용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되면 언론중재 등 제도적인 장치를 통해 접근하는 것이 순리다”고 밝혔다.

또 같은날 ‘공정위 이성 잃었다’ 제하 기사에서 한나라당 의원들이 “공정위가 권력의 주구로 전락했다”며 “이남기 위원장의 인책사퇴까지 거론했다”고 보도했다.

조선일보와 중앙일보도 11일자 사설에서 공정위의 출입금지 조치에 대해 “명백한 보복행위이며 시대 착오적 작태” “취재활동의 자유에 대한 명백한 침해며 언론에 대한 폭력”이라고 비난했다.

그러나 공정위가 출입금지 조치를 내린 데는 속사정이 있다는 견해도 나오고 있다.

공정위의 한 관계자는 “조선, 중앙도 신문고시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견지해 왔지만 유독 동아일보 기자에 대해서만 출입금지를 한 것은 동아일보의 보도가 가장 왜곡됐기 때문”이라고 불만을 표시했다.

한 공정위 출입기자는 “출입금지 조치를 취한 공정위가 원칙적으로는 문제가 있지만 그렇게 할 수밖에 없는 이유도 있었다”며 공정위쪽 반응을 이해할 수 있다는 의견을 보이기도 했다.

한겨레는 11일자 “오죽하면 ‘동아기자 출입금지’ 붙였겠나” 제하 기사에서 “동아일보가 공정위 실무자의 입을 빌려 내부 반발마저 있는 것처럼 보도했다”고 지적했다.

김병배 공보관은 “간부회의에서 공정위 실무자의 견해를 왜곡 보도한 동아일보 출입기자에 대해 선언적 차원에서 출입금지를 내렸다”고 말했다.

박주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