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보가 입수한 한 지국의 독자대장을 분석하다보면, ‘제값 내고 신문 보는 사람들이 이상한 사람’이라는 말이 실감난다. 경품도, 무가지도 없이 덜컥 신문을 구독한 명단을 접하게 되면 “이 사람은 무슨 생각으로…” 식의 의아함이 앞설 지경이다. 이같은 ‘의아함’은 부활 여부를 떠나서 논란을 거듭하고 있는 신문고시에 대한 그것으로 이어진다.
동아일보, 조선일보, 중앙일보 등은 무가지를 10%로 제한하는 고시안이 판매일선의 실태를 무시하는 규제라고 지적한다. 또 신문업계의 자율규제가 강화되고 있는 과정이기 때문에 외부 개입의 타당성이 없다고 반발하고 있다.
이에 대해 공정거래위는 하루 평균 350만부의 무가지 발행으로 연간 4000억원의 자원이 낭비되고 있다며 어디까지나 ‘공정경쟁’, ‘소비자 보호’ 차원에서 추진하는 것이라고 반박한다.
실제로 본보가 입수한 한 유력 중앙일간지의 지국 독자대장에 따르면 신문업계 자율규제 이후에도 여전히 장기 무가지 제공이 높은 수치를 기록한 반면 경품은 급격히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물론 전국 1만여개 안팎의 지국 가운데 한곳의 사정일 뿐이다. 공정경쟁규약 강화 이후의 위반사례 적발건수 역시 말그대로 ‘적발 사례‘이기 때문에 판매일선의 움직임과는 별개일 수 있다.
문제는 이런 식의 추론이 굳이 필요하지 않다는 점이다.
신문고시 부활을 둘러싼 논쟁의 양 당사자들은, 특히 신문사들은 다른 누구보다 지국의 실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있을 것이다. 공정위 역시 마찬가지다. 언론사를 상대로 조사를 시작한 지 3개월째다. 국세청도 이미 지국에 대한 특별 세무조사를 벌인 바 있다. 구독양태, 무가지, 경품 실태, 할인판매 현황 등등 실태에 대해 얘기할 구체적인 수치들을 가지고 있을 것이다.
‘정부 개입’이든 ‘자율 규제’든 논란에 앞서 독자가 먼저 알아야 할 바는 이런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기초를 빠뜨리고 설전만 거듭하면 기싸움 밖에 안된다. 서로 알고 있는 것부터 까놓고 얘기하자는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