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일 언론, '교과서 왜곡' 보도 상반된 경향

이홍천 씨  2001.04.21 10:51:11

기사프린트

일본의 교과서 왜곡 문제가 한·일 관계는 물론 양국 언론에도 쟁점이 되고 있다. 교과서 문제를 다루는 일본 언론은 크게 두가지 경향으로 나뉘어진다. 비판적인 경향(아사히)과, “내용은 이상무, 설득 방법에 문제”가 있었다는 보도 경향(요미우리)이 그것이다.

아사히, 요미우리, 닛케이 등 3개의 신문을 중심으로 올해 1월 1일부터 4월 13일까지의 보도를 살펴보면 3개사의 기사량에서부터 확연한 차이가 나타난다. 아사히신문의 경우 4월 13일 현재까지 202건의 관련 기사를 싣는 등 적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는 반면 보수적인 논조의 요미우리와 닛케이는 각각 88건, 50건으로 대조를 보이고 있다. 아사히는 타 신문과 달리 42건의 독자 투고를 지면에 게재하기도 했다.

사설의 경우 아사히와 요미우리가 3건을 게재한 반면 닛케이는 사설을 싣지 않았다. 아사히는 “어울리지 않는 ‘만드는 회’의 교과서”(4월 4일), “교과서 채택에 현장의 목소리를 배제하지 마라”(2월 24일) 등을 통해 비판적인 입장을 분명히 했다. 반면 요미우리는 “공정한 검정에 이해를 구하자”(4월 4일), “일본은 사상의 다양성을 허용하는 나라다”(3월 2일) 등의 사설로 대조를 보였다.

아사히는 3월 13~14일 “정치에 흔들리는 ‘검정’” “이상적인 제도, 세계가 고민 중” 등 교과서 문제에 대한 특집을 2회에 걸쳐 게재하기도 했다.

반면 요미우리는, ‘만드는 회’의 역사 교과서가 검정에 통과한 4일, “공정한 검정에 이해를 구하자”(사설)며, 이번 파문의 원인이 내용보다는 “사전 누출”된 데 있다고 보도했다. 또 기자칼럼을 통해 ‘검정 내용을 한국어로 번역해 제공했다면 오해가 풀릴 수 있었는데 시기를 맞추지 못해 기회를 놓쳤다’고 아쉬워했다. 특히 4월 10일 ‘한국 주일 대사 사실상 소환 강경자세, 국내 의식용?’이라는 기사는 현 정권이 역사 교과서 문제를 확대시키고 싶지 않은 ‘혼내(본심)’에도 불구하고 야당과 언론의 비판에 밀려 강경한 입장으로 선회했다고 보도했다. 보수언론의 기본적인 보도자세는 “한국의 비판 열기가 장기적이거나, 치밀하게 전개되지는 않을 것이다” “현재의 강경한 입장은 야당과 언론의 비판에 밀린 대응이다. 현 정부는 한·일 관계의 악화를 바라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같은 시각은 대체로 특파원의 시각과 정보가 반영된 면이 크다고 볼 때, 한국 언론이 이런 면을 지나치게강조한 것은 아닌지 짚어볼 필요가 있다. ‘만드는 회’가 교과서 시장의 10% 점유를 목표로 하는 만큼, 이들의 교과서가 교재로 채택되지 않도록 분위기를 조성하는 한국 언론의 보도가 뒤따라야 한다는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