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면 일부가 공란으로 발행된 경남신문 초유의 제작 파행은 답보상태를 거듭해온 증자 문제에 대한 주주와 사원들 간 갈등에서 비롯됐다.
무학그룹, 한국철강 등 현 대주주들이 97년에 증자결의를 한 이후 올 들어서도 특별한 진전을 보이지 못했던 것.
노조(위원장 이상규)는 지난 3월 주총에서 경영진 3명이 퇴진한 반면 신임 이사 선임을 임시주총으로 미루자 “이는 증자와 관련 대주주 간 갈등과 지분경쟁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규정하기도 했다.
4월 주총에서도 대표이사만을 선임하고 증자 문제가 해결되지 않자 이같은 불만은 “기존 주주들이 증자를 할 수 없다면 외부자본에 문호를 개방하라”는 비대위(위원장 정목일) 요구로 이어졌다.
올들어 주주측에서 증자 문제를 거론하기도 했으나 ‘전제조건’을 내걸어 사원들의 또다른 반발을 불렀다. 김만열 한국철강 사장은 3월 노조측과 만난 자리에서 증자를 전제로 ‘부장 이상 일괄사표’, ‘노조활동 3년간 유보’ 등을 요구했다. 이에 대해 노조는 총회를 열어 “노조 해체 요구와 다름없는 것으로,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을 정리했다. 편집국의 한 간부는 “97년 삭감 이후 임금을 올려주지 못했기 때문에 고육책으로 직위를 올려줬던 것”이라며 간부 구조조정 요구에 불만을 피력했다.
반면 4월 임시주총에서 대표이사로 선임된 박무영 상무는 3일 “사내 여론을 수렴해 회사를 살릴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할 것”이라며 “일괄사표든, 명예퇴직이든 가능한 합의를 도출해 풀어나가겠다”고 밝혔다.
4월말 부장급 이상 간부들로 구성된 비대위는 이에 대해 박 상무 퇴진을 공식화하며 주주 연쇄 면담을 시작, 행보를 본격화했다.
먼저 4월 30일 비대위와 면담을 가진 김만열 사장은 “간부 구조조정 등 증자조건엔 변함이 없다”면서도 감자와 관련 “1주 당 500원에 사원주주로 전환할 것을 주주들에게 제의한 바 있다”고 밝혔다.
외부자본 유치에 무게를 실은 비대위 방침은 3일 대주주인 최위승 무학그룹 회장 면담에서 구체적인 가닥을 잡게 됐다. 최 회장은 이날 새 주주 영입과 이에 따른 보유주식 감자나 포기 의사를 밝혔으며 대표이사 퇴진과 관련 “조만간 이사회를 열어 결정하겠다. 사내여론을 수렴해 추천해달라”는 입장을 전달했다. 기존 주주들의 증자 참여를 둘러싸고 진통을 거듭하던 경남신문은 대주주의 외부자본 유치 의사로 새 국면으로 접어든것이다.
한편 노조는 4일 간부 회의를 시작으로 일련의 상황전개에 대한 입장을 정리할 방침이다. 노조는 4월 주총 이후 박 상무 선임에 유감을 표하는 한편 적법한 절차를 거친 인사라는 점을 들어 중단됐던 임단협 재개 방침을 밝힌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