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정부, 뉴욕타임스에 항의 서한

김 현 기자  2001.05.12 09:42:20

기사프린트

국정홍보처가 한국의 언론상황을 보도한 뉴욕타임스 기사에 대해 항의서한을 보내고 이를 인용 보도한 일부 언론에 대해서도 문제를 제기했다.

문제가 된 것은 뉴욕타임스 7일자 기사 ‘진보주의자들의 공격을 받는 한국의 보수계 신문들’.

뉴욕타임스는 기사에서 “비판자들은 3개 메이저 신문의 공격으로 김 대통령의 지지도가 떨어지고 있으며 정부가 대통령에 대한 이들 신문의 비판을 막으려 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기사에 인용된 ‘비판자’는 3대 신문의 경영진과 김영희 중앙일보 전무.

오홍근 국정홍보처장은 11일 아서 슐츠 뉴욕타임스 발행인 앞으로 항의 서한을 보내 “이들 비판자들의 주장을 인용보도하고 동아·조선·중앙의 경영진의 발언을 소개했지만 세무조사로 특정신문의 비판을 막으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A4 2매 분량의 항의서한을 지면에 실어줄 것을 요청했다. 국정홍보처는 또 세무조사 기간 연장에 대해 “고발에 필요한 증거를 찾으려는 정부의 결의를 나타낸 것으로 보고 있다”는 보도에 대해서도 “자료 제출이 미비한 데 따른 조치”라고 반박했다.

이에 앞서 한겨레도 10일 뉴욕타임스에 정정 보도를 요청하고 “87년 대선에서 김대중 후보를 지지한 적이 없으며 92·97년 대선에서도 특정후보를 지지한 사실이 없다”고 밝혔다.

국정홍보처는 뉴욕타임스 보도를 인용한 동아·조선·중앙에 대해서도 문제를 제기하고 “‘비판자들’의 간접 인용을 삭제한 것은 왜곡 보도”라고 말했다.

8일자 동아·조선·중앙은 동아·조선·중앙 경영진과 김영희 전무의 발언임을 언급하지 않은 채 “뉴욕타임스는 …지적했다”고 보도했다.

또 ‘그 수단으로 국세청과 공정위 조사가 동원되고 있다’(조선) ‘정책 추진에 어려움을 겪게 된 것을 부담으로 여기고 있는 것 같다’(중앙) ‘3대 신문이 정부부처로부터 집중적인 조사를 받고 있다’(동아)등의 원문에 없는 문장을 덧붙였다. 조선과 동아는 대통령의 지지도 하락과 관련, ‘급속히’라는 단어를 넣었다.

국정홍보처의 한 관계자는 “원문에 없는 말이 너무 많아서 찾기가 어려울 정도”라며 “왜곡 사례를 간추려 정정 보도를 요청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문제의 뉴욕타임스 기사를 쓴 돈 커크 기자는 지난 1월 31일 인터내셔널 헤럴드트리뷴 기사에서 “한국 관리들이 남북정상회담을 추진하기 위해 김정일 위원장의 계좌에거액의 돈을 넣었다”고 보도했다가 정부의 반론문을 싣었다. 또 지난 1일 조선일보에 기고한 ‘언론 전쟁의 첫 희생자’라는 제목의 칼럼에서는 “언론 전쟁 상황에서 첫 희생자는 표현의 자유가 되지 않을까”라며 “가장 우려스러운 것은 안기부 요원들이 보도에 대해 가타부타했던 옛 시절로 돌아가지 않을까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김 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