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이 정도를 벗어나 불공정한 쪽으로 흘러가는 측면이 있다. 예를 들어 여당의 신당 창당에는 가혹하게 비판하고 야당의 제2창당에는 아무 말이 없다. 내용상 큰 차이가 없다고 여겨지는데 왜 보도 태도는 다를까 하는 의문이 생긴다. 또 최기선 인천시장이 2000만원 정치자금 받은 데 대해 검찰이 불구속 수사하자 언론이 벌떼처럼 일어나서 매질했다.
매질 자체가 나쁘다는 게 아니라 형평성이 있어야 한다. 수억원의 정치자금을 받았다고 의혹받는 정치인에다 수십억원을 받았다고 얘기되는 정치인도 있고 자기 보좌관을 채용하는 데 8000만원을 받은 것으로 알려진 국회의원도 있다. 그런 경우 다 불구속 수사했다. 이 사람들과 형평성은 어떻게 적용되는지 궁금하다. 이 언론의 잣대는 무엇인가."
오홍근 국정홍보처장은 기자의 질문에 앞서 언론에 대한 불만부터 표출했다. 계속되는 오 처장의 토로다. "예전에는 현역 지사가 뇌물 수수와 관련해 구속될 경우 언론은 '부패척결의 강력한 의지'라며 박수를 보냈다. 지금의 언론은 뇌물 받은 현역 지사(임창열 경기지사)를 구속하자 '위도 다 썩었다'고 보도한다. 나는 그 당시 신문도 봤고 지금 신문도 보면서 상당히 헷갈린다. 어떤 잣대가 맞는 것인가."
오 처장은 한 원로의 말을 인용, "요새 언론은 정부를 비판하는 것이 아니라 타도하려고 덤빈다"고 표현했다. 이 원로는 '군사독재 시절에는 능동적으로 온갖 아부를 다하던 언론이 온건한 정부가 들어서니까 포악해질 의사가 없다는 것을 확인한 뒤에 가혹할 정도로 매질한다. 이건 교활한 거다.'라고 분통을 터뜨렸다고 전했다.
속엣말을 쏟아낸 뒤 오 처장은 "언론은 공정하고 건강한 잣대로 당당하게 비판하고 정부는 이 점을 겸허하게 받아들여야 한다"는 원칙론을 피력했다. 비판의 잣대는 국익 차원에서 행해져야 한다는 전제에서. 이와 함께 "정부는 언론을 장악하려 해선 안되고 언론은 정부를 타도하려고 작심하면 안된다"면서 "국익이란 관점에서 정부와 언론은 동반자"라는 논리를 전개했다.
오 처장은 언론개혁에서의 정부 역할론과 관련, "언론계 내부에서 변화를 이끌어야지 (외부에선)희망할 수는 있어도 물리적으로 바꾼다는 것은 올바르지 않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따라서 '국가 활용론'도 반대입장이다.
정부 개입 순서는 맨 마지막이어야 한다는 게 그의 지론이다. "내부에서의 개혁 움직임이 우선이며, 그 다음 순서로 독자나 시민단체 등에서 앞장서야 한다"며 "정부는 제일 나중에 나서야 할 것이다."
현 정권에 대해선 "언론을 장악할 의사도, 능력도 없다"는 말을 되풀이했다.
국정홍보처의 역할에 대한 세부적인 설명이다. "언론은 국민의 알권리에 충실해야 한다. 국익을 저해하거나 실정법 위반이 아니라면 언론이 이 역할을 수행하는 데 있어서 불편함이 없도록 최대한 도울 생각이다. 동시에 잘못된 보도로 피해 본 정부부처가 지원을 요청할 경우에도 적극 협력할 것이다.
정부의 피해는 국민의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 잘못된 것을 바로 잡고 돕는 역할이 국정홍보처의 AS 기능이다.